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406

중의무릇(20240417) 중의무릇(20240417) | 중무릇, 조선중무릇, 참중의무릇, 반도중무릇, 애기물구지, 누런애기물구지 Jung-ui-mu-reut Gagea lutea (L.) Ker Gawl. ○ 국명정보 중의무릇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중 + 의 + 무릇" 중의무릇이라는 이름은 무릇과 땅속 비늘줄기의모양이 비슷한 데서 유래했다. 중의무릇의 중은 승려를 낮추어 부르는 말로, 중의무릇은 산 속에 사는 무릇 또는 무릇보다 쓰임새가 못하다는 뜻으로 추정한다. 사찰에서 먹을 수 있다는 뜻에서 생겨난 이름이라는 견해가 있으나 식용하는 것에 대한 기록이 발견되지 않으며 독성이 강해 사망에 이르게도 하여 식용이 어려운 점을 감안할 때 타당성이 미흡하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 2024. 4. 20.
애기괭이눈(20240417) 애기괭이눈(20240417) | 덩굴괭이눈, 애기괭이눈풀, 蔓金腰(만금요, 중국명) Ae-gi-gwaeng-i-nun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원본 애기괭이눈 (tistory.com) ○ 국명정보 애기괭이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애기 + 괭이눈", 애기괭이눈이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작고 귀여운 괭이눈이라는 뜻에서 유래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괭이눈속(Chrysosplenium) 가지괭이눈 / 누른괭이눈 / 산괭이눈 / 선괭이눈 / 애기괭이눈 / 제주괭이눈 / 흰괭이눈(흰털괭이눈) / 금괭이눈 / 시베리아괭이눈 / 큰괭이눈 .. 2024. 4. 20.
선괭이눈(20240417) 선괭이눈(20240417) | 큰웅예괭이눈, 큰수술괭이눈, 큰바위괭이눈, 방울괭이눈, 방울괭이눈풀, 선괭이눈풀 Seon-gwaeng-i-nun Chrysosplenium pseudofauriei H. Lév. ○ 국명정보 선괭이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선 + 괭이눈", 선괭이눈이라는 이름은 줄기에 털이 없이 꼿꼿이 서 있고 괭이눈을 닮은 모습에서 붙여졌다. 에서 괭이눈을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선을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괭이눈속(Chrysosplenium) 가지괭이눈 / 누른괭이눈 / 산괭이눈 / 선괭이눈 / 애기괭이눈 / 제주괭이눈.. 2024. 4. 20.
천마괭이눈(20240417) 천마괭이눈(20240417) | 금괭이눈, 알괭이눈, 황금빛괭이눈 Cheon-ma-gwaeng-i-nun Chrysosplenium pilosum Maxim. var. valdepilosum Ohwi | 이명 Chrysosplenium sphaerospermum Maxim(2009), Chrysosplenium pilosum var. sphaerospermum H. Hara(2010) ※ 원본 천마괭이눈 (tistory.com) ○ 국명정보 천마괭이눈 : 정영호, 김영동 (1988) 금괭이눈 : 박만규 (1974) 알괭이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천마 + 괭이눈", 천마괭이눈이라는 이름은 자생지 경기도 천마산에서 처음 발견 채집된 데서 유래했다. 천마괭이눈을 .. 2024. 4. 20.
연영초(延齡草)(20240418) 연영초(延齡草)(20240418) | 왕삿갓나물, 큰꽃삿갓풀, 큰연령초, 중국명 吉林延龄草[ji lin yan ling cao] Yeon-yeong-cho Trillium camschatcense Ker Gawl. ※어법상으로는 연영초가 아니라 연령초가 옳다. 그러나 선취권을 인정한다면 연영초라고 해야 한다. ○ 국명정보 연영초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연영초라는 이름은 수명을 연장한다는 뜻이 있는 한자명 延齡草에서 유래한 것으로, 한약재로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에서 최초 기록되었고 그 이전 기록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백합과(Liliaceae) 연영초속(Trillium) 연연초 / .. 2024. 4. 19.
양지꽃(20240418) 양지꽃(20240418) | 배얌대활, 소시랑까비, 좀양지꽃, 소시랑개비/큰소시랑개비, 애기양지꽃/왕양지꽃/큰소스랑개비 Yang-ji-kkot Potentilla fragarioides L. ○ 국명정보 양지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양지 + 꽃", 양지꽃이라는 이름은 무덤가와 같은 양지바른 곳에서 꽃이 피어나는 것에서 유래했다. 이른 봄에 양지바른 곳에서 가장 먼저 피는 꽃 중의 하나로 옛날에는 봄에 잎을 채취해 나물로 식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장미과(Rosaceae) 양지꽃속(Potentilla) 가락지나물 / 개소시랑개비 / 검은낭아초 / 넓은딱지 / 눈양지꽃 / 당양지꽃 / 딱지꽃 / 만주딱지꽃.. 2024. 4. 19.
산양지사초(20240418) 산양지사초(20240418) | 다른국명 San-yang-ji-sa-cho Carex ulobasis V.I.Krecz. | 다른학명 ○ 국명정보 산양지사초 :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 국명의 유래 "산양지사초"라는 이름은 큰 산의 양지에 주로 나는 사초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체계 사초과(Cyperaceae ) > 사초속(Carex ) 산양지사초 Carex ulobasis V.I.Krecz. ○ 분포 | 자생지 중국, 러시아 등 | 강원, 경북 산지에 자란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빽빽하게 총생하고, 근경은 짧으며, 목질이다. 줄기 높이는 15-25cm이고, 단면은 눌린 삼릉형이다. 잎 잎 줄기와 길이가 같거나 조금 짧고, 너비는 1-2.5mm이며, 표면에 유모가.. 2024. 4. 19.
노랑제비꽃(20240418) 노랑제비꽃(20240418) | 노랑오랑캐, 노랑오랑캐꽃 No-rang-je-bi-kkot Viola orientalis (Maxim.) W. Becker ○ 국명 정보 노랑오랑캐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노랑제비꽃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노랑 + 제비꽃", 노랑제비꽃이라는 이름은 노란색의 꽃이 피는 제비꽃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제비꽃과(Violaceae) 제비꽃속(Viola) 각씨제비꽃 / 갑산제비꽃 / 경성제비꽃 / 고깔제비꽃 / 구름제비꽃 / 금강제비꽃 / 긴잎제비꽃 / 넓은잎제비꽃 / 노랑제비꽃 / 누운제비꽃 / 둥근털제비꽃 / 뫼제비꽃 / 미국제비꽃(종지나물) .. 2024. 4. 19.
산괴불주머니(20240418) 산괴불주머니(20240418) | 암괴불주머니 San-goe-bul-ju-meo-ni Corydalis speciosa Maxim. ○ 국명정보 산괴불주머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산 + 괴불주머니", 산괴불주머니라는 이름은 주로 산에서 자라는 괴불주머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괴불주머니라는 이름은 꽃의 모양이 예전에 아이들이 주머니끈 끝에 차던 세모 모양의 조그만 노리개인 괴불주머니와 유사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현호과(Fumariaceae) 현호색속(Corydalis) 갈퀴현호색 / 갯괴불주머니 / 괴불주머니 / 난장이현호색 / 남도현호색 / 눈괴불주머니 / 들현호색 / 산괴불주머니 / 섬현호색.. 2024. 4. 19.
새밥(20240418) 새밥(20240418) | 검은꿩의밥풀, Rufous woodrush Sae-bap Luzula rufescens Fisch. ex E. Mey, 1849. | Luzula rufescens Fisch. ex E. Mey. var. rufescens ○ 국명정보 새밥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 "새 + 밥", 새밥이라는 이름은 광타원형 내지 도란형 종자가 새가 밥으로 먹기에 알맞을 정도로 작은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Juncales 골풀목 > Juncaceae 골풀과 > Luzula 꿩의밥속 꿩의밥 Luzula capitata Kom., 1927. 구름꿩의밥 Luzula oligantha Sam., 19.. 2024. 4. 19.
꿩의바람꽃(20240418) 꿩의바람꽃(20240418) | 중국명 多被恩蓮花, アズマイチゲ, 영문명 Many-sepal anemone Kkwong-ui-ba-ram-kkot Anemone raddeana Regel ※raddeana : 코카서스와 아무르 지역을 탐사한 19세기 독일의 자연과학자 'Gustav Ferdinand Richard Radde'를 기념한 것임. ○ 국명정보 꿩의바람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꿩의 + 바람꽃", 꿩의바람꽃이라는 이름은 땅속줄기에서 나온 잎이나 꽃받침 등의 모양이 꿩의 발을 닮았다는 뜻에서, 또는 꿩이 서식하는 산 숲속에서 자라는 바람꽃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것으로 추정한다. 에서 바람꽃을 기본으로 하고 서식지 또는 형태적 특징에 착안한 '꿩의'를 추가.. 2024. 4. 19.
미치광이풀(20240418) 미치광이풀(20240418) | 미치광이, 광대작약/미친풀, 낭탕/초우엉, 안질풀, 독뿌리풀 Mi-chi-gwang-i-pul Scopolia japonica Maxim. ○ 국명정보 미치광이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미치광이 + 풀", 미치광이풀이라는 이름은 독성이 강해 많이 먹으면 사람을 미치게 하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전초에 독성이 있으며 땅속줄기와 잎을 약용했다. 동의보감에 낭탕자(莨菪子)에 대해 "독이 많다. 치통에 주로 써서 벌레를 나오게 한다. 많이 먹으면 미쳐 날뛰고 헛것이 보이게 된다"고 기록해 이름의 유래를 뒷받침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가지과(Solanaceae) 미치광이풀속(S.. 2024. 4. 19.
나도바람꽃(20240418) 나도바람꽃(20240418) | East Asian false rue anemone Na-do-ba-ram-kkot Enemion raddeanum Regel ※나도바람꽃 원본 https://ihogyun.tistory.com/2762545 나도바람꽃(1) https://ihogyun.tistory.com/2762889 ○ 국명 정보 나도바람꽃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나도 + 바람꽃", 나도바람꽃이라는 이름은 꽃의 모양이 바람꽃과 비슷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나도바람꽃속(Enemion) 나도바람꽃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우수리), 일본, 한국 | 지리산 이북의 산지 숲 속, 습기가 많고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 2024. 4. 19.
얼레지(20240418) 얼레지(20240418) | 가재무릇, 얼너지, 얼네지, 얼레기 Eol-re-ji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국명정보 얼레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얼네지(가재무릇)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얼레지라는 이름은 잎의 표면에 있는 자주색 무늬가 얼룩덜룩하게 보이는 것에서 유래했다. 얼룩말을 얼럭말, 얼네말이라고 한 것에서도 지원된다. 가재무릇이라고 한 것은 잎에 가재와 같은 얼룩무늬가 있는 무릇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얼레지와 그 의미가 서로 통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ales 백합목 > .. 2024. 4. 19.
나도양지꽃(20240418) 나도양지꽃(20240418) | 딸기아재비, 금강금매화 Na-do-yang-ji-kkot Waldsteinia ternata (Stephan) Fritsch ○ 국명정보 나도양지꽃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나도 + 양지꽃", 나도양지꽃이라는 이름은 양지꽃을 닮았지만 똑같지는 않은 양지꽃이라느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장미과(Rosaceae) 나도양지꽃속(Waldsteinia) 나도양지꽃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일본, 한국 | 경북, 강원 이북 깊은 산 숲 속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는다. 잎 잎은 2-3장이 모여나고 3출겹잎이다. 작은 잎은 도란형이고 2-3갈래로 갈라진다. 꽃 꽃줄기는 높이 .. 2024.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