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371

캐나다엉겅퀴 (20170910) 캐나다엉겅퀴 (20170910) | 영문명 creeping thistle, Canada thistle, field thistle, Canadian thistle, lettuce from hell thistle, California thistle,[10] corn thistle, cursed thistle, field thistle, green thistle, hard thistle, perennial thistle, prickly thistle, setose thistle, small-flowered thistle, way thistle, and stinger-needles시르시움 아르벤세Cirsium arvense (L.) Scop.  | 이명 Breea arvensis (L.) Less. / Card.. 2025. 4. 1.
Betulaceae 자작나무과 > Betula 자작나무속(20170910) Betulaceae 자작나무과 > Betula 자작나무속(20170910)-자작나무속 Betula sp. 2025. 4. 1.
Woodsiaceae 우드풀과 > Woodsia 우드풀속(20170910) Woodsiaceae 우드풀과 > Woodsia 우드풀속(20170910) -우드풀속 Woodsia sp. 2025. 4. 1.
피마자(20170910) 피마자(20170910) | 아주까리, 아죽까리, 피마주(북한명)Pi-ma-jaRicinus communis L.재배식물 ○ 국명정보피마자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피마자라는 이름은 한자명 蓖麻子(비마자)의 발음이 변화한 것에서 유래했다. 인도 및 아프리카 원산으로 국내에서는 재배한다. 蓖는 열매가 굽어 진드기처럼 생겼다는 뜻이고, 麻는 잎이 삼을 닮았다는 뜻이며, 子는 씨앗을 약용한 데서 유래했다. 고려시대에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피마자의 다른 이름인 아주까리는 오래된 우리말로 향약구급방은 한자를 차자하여 阿叱加伊(아ㅈ·가리)로 기록했고, 동의보감에서는 아ㅈ·ㅅ가리라는 한글로 기록했는데 그 정확한 뜻은 알려져 있지 않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 2025. 3. 31.
델피니움 엘라툼 (20170910) 델피니움 엘라툼 (20170910) | 영문명 alpine delphinium, candle larkspur국명의 로마자Delphinium elatum L. | 다른학명 ○ 국명정보델피니움 엘라툼: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델피니움 엘라툼"이라는 이름은 이 식물의 학명에서 유래했다. ○ 분류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제비고깔속(Delphinium)비연초 / 제비고깔 / 참제비고깔 / 큰제비고깔 / 부전제비고깔 / 털제비고깔 / 흰제비고깔델피니움 엘라툼 Delphinium elatum L. ○ 분포 | 자생지온화한 아시아와 유럽이 원산지  | 강건하지만 햇볕이 잘 드는 곳과 깊고 비옥한 토양에서 보호된 위치가 필요합니다. 모든 식물은 꽃 머리가 무너지지 않도록 단단히 말뚝을 박.. 2025. 3. 31.
Impatiens glandulifera (20170910) Impatiens glandulifera (20170910) | 히말라야 물봉선, 영문명 Himalayan balsam, kiss-me-on-the-mountain, Ornamental jewelweed 임파티엔스 그랜둘리페라Impatiens glandulifera Royle | 이명 Balsamina glandulifera (Royle) Ser. / Balsamina macrochila (Lindl.) Ser. Balsamina roylei (Walp.) Ser. / Impatiens macrochila Lindl. / Impatiens roylei Walp. ※종소명 glandulifera는 '작은 땀샘'을 의미하는 glándula와 '낳다'를 의미하는 ferre의 합성어입니다. ○ 국명정보 ○ 국명.. 2025. 3. 31.
물싸리(20170907) 물싸리(20170907) | 長春花, 金盞草,  Stiff shrubby cinquefoilMul-ssa-riPotentilla fruticosa L. ○ 국명정보물싸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물 + 싸리",  물싸리라는 이름은 고산의 습지(물)에서 자라는 싸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함경남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장미과(Rosaceae) 양지꽃속(Potentilla) 가락지나물 / 개소시랑개비 / 검은낭아초 / 넓은딱지 / 눈양지꽃 / 당양지꽃 / 딱지꽃 / 만주딱지꽃 / 물싸리 / 물싸리풀 / 물양지꽃 / 민눈양지꽃 / 세잎양지꽃 / 솜양지꽃 / 양지꽃 / 은양지꽃 / 좀개쇠스랑개비 /.. 2025. 3. 31.
국화과 Asteraceae > 솜다리속 Leontopodium(20170908) 국화과 Asteraceae > 솜다리속 Leontopodium(20170908) -솜다리속 Leontopodium sp.※국립생물자원관 왜솜다리 Leontopodium japonicum Miq. 국가표준식물목록 솜다리 Leontopodium coreanum Nakai   와 유사하다. 2025. 3. 31.
Campanulaceae 초롱꽃과 > Campanula 초롱꽃속(20170908) Campanulaceae 초롱꽃과 > Campanula 초롱꽃속(20170908)-초롱꽃속 Campanula sp. 꽃과 잎으로 보아서 캄파눌라 라티폴리아 Campanula latifolia L.와 유사해 보인다. 2025. 3. 31.
Asteraceae 국화과 > Achillea 톱풀속(20170908) Asteraceae 국화과 > Achillea 톱풀속(20170908) -Achillea sp. 톱풀속 2025. 3. 31.
Polygonaceae 마디풀과 > Bistorta 범꼬리속(20170908) Polygonaceae 마디풀과 > Bistorta 범꼬리속(20170908)  Bistorta 범꼬리속 2025. 3. 31.
Caryophyllaceae 석죽과 > Dianthus 패랭이꽃속(20170908) Caryophyllaceae 석죽과 > Dianthus 패랭이꽃속(20170908) 2025. 3. 31.
Brassicaceae 배추과 > Erysimum 쑥부지깽이속(20170908) Brassicaceae 배추과 > Erysimum 쑥부지깽이속(20170908) 꽃과 열매로 보아 배추과 쑥부지깽이아재비 쑥부지깽이아재비 Erysimum repandum L. 또는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  와 유사해 보인다. ○ 참고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Erysimum cheiranthoides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Erysimum repandum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25. 3. 31.
Salicaceae 버드나무과 > Populus 사시나무속 (20170908) Salicaceae 버드나무과 > Populus 사시나무속 (20170908) 단풍이 든 잎 모양으로 보아 황철나무와 유사해 보인다. ○ 참고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황철나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25. 3. 31.
물망초((20170908) 물망초((20170908) | 물지치 . 영문명 true forget-me-not, water forget-me-not Mul-mang-cho Myosotis scorpioides L. | 이명 Echioides palustris Moench / Echioides perennis MoenchMyosotis adpressa Stokes / Myosotis aspera Lamotte / Myosotis coronaria Dumort. ○ 국명정보물망초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물지치 :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 국명의 유래물망초라는 이름은 이 식물의 영문명 water forget-me-not에서 유래했다. ○ 분류체계Boraginaceae (지치과) > Myosotis (개꽃마리속)물망초 Myo.. 2025.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