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321

노랑지빠귀(20250305) 노랑지빠귀(20250305) |No-rang-ji-bba-gwiTurdus naumanni Temminck, 1820 | Turdus naumanni Temminck, 1820 ○ 분류Chordata 척삭동물문 > Aves 조강 > Passeriformes 참새목 > Turdidae 지빠귀과 > Turdus 지빠귀속갈색지빠귀 Turdus feae (Salvadori, 1887)개똥지빠귀 Turdus eunomus Temminck, 1831검은목지빠귀 Turdus atrogularis Jarocki, 1819검은지빠귀 Turdus cardis Temminck, 1831노랑지빠귀 Turdus naumanni Temminck, 1820대륙검은지빠귀 Turdus merula Linnaeus, 1758대륙점지빠귀.. 2025. 3. 30.
솔체꽃(20170908) 솔체꽃(20170908) | 체꽃, 산나복Sol-che-kkotScabiosa tschiliensis Gruning ○ 국명정보솔체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솔 + 체꽃", 솔체꽃이라는 이름은 솔과 체꽃의 합성어로 이루어져 있다. 잎이 솔잎처럼 가는 체꽃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체는 가루를 곱게 치거나 액체를 밭거나 거르는 데 사용하는 기구인 체를 닮았다는 뜻으로 꽃의 모양에서 유래했고, 솔은 잎의 모양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한편 솔체꽃이라는 이름은 '솔체+꽃'의 합성어로 보고 솔체는 일본명 중 일본 불교 예불에 사용하는 악기 종류인 마쓰무시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는 견해가 있다. 그러난 조선식물향명집에 체꽃이라는 이름이 별도로 기록되었으므로 솔체를 단일어로 .. 2025. 3. 30.
사향엉겅퀴(20170908) 사향엉겅퀴(20170908) | 영문명 musk thistle, nodding thistle, nodding plumeless thistleSa-hyang-eong-geong-kwiCarduus nutans L.※귀화식물 ○ 국명정보사향엉겅퀴 : 이유미, 박수현, 양종철, 최혁재(2008) ○ 국명의 유래"사향 + 엉겅퀴", 사향엉겅퀴라는  이름은 식물체에서 나는 사향  비슷한 톡특한  냄새가 나는  엉겅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국화과(Asteraceae) 엉겅퀴속(Carduus)사향엉겅퀴 / 지느러미엉겅퀴 / 흰지느러미엉겅퀴 ○ 분포|자생지유럽, 서부 시베리아, 아시아 및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입니다. 북미, 호주, 뉴질랜드 및 남부 아프리카에서 침입하게 되었습니다. 북미 록키 산맥에 풍부합니다. .. 2025. 3. 30.
댑싸리(20170907) 댑싸리(20170907) | 대싸리, 비싸리, 공쟁이, 답싸리Daep-ssa-riKochia scoparia (L.) Schrad. var. scoparia ○ 국명정보댑싸리(비싸리, 공재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댑 + 싸리", 댑싸리라는 이름은 옛이름인 '대ㅄ ·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15세기 문헌에 나타난다. 대는 唐을 훈독한 것으로 중국에서 전래되었다는 뜻이고, ㅄ ·리는 싸리를 뜻하는 것으로 줄기로 싸리비를 만들어 썼던 데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학명의 뜻 속명 Kochia 는 독일 식물학자 Wilhelm Deniel Joseph Koch의 기념학명으로 댑싸리속을 지칭, 종소명 scoparia.. 2025. 3. 29.
병솔개밀 (20170629) 병솔개밀 (20170629) | 영문명 Bottlebrush grass, eastern bottlebrush grass Byeong-sol-gae-milElymus hystrix L. | 이명 Hystrix patula Moench ○ 국명정보병솔개밀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병솔개밀이라는 이름은 화서 모양이 병솔처럼 생긴 개밀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체계Poaceae 벼과 > Elymus 개밀속병솔개밀 Elymus hystrix L. ○ 분포 | 자생지미국 동부와 캐나다 동부가 원산지입니다. 미국 대평원 동쪽과 캐나다 동부에서 발견됩니다. 일반적으로 강, 개울 또는 숲 근처와 같이 바위가 많고 습하며 부분적으로 그늘진 서식지에서 발견됩니다. Elymus hystrix 는 그늘.. 2025. 3. 29.
Achillea millefolium 'Paprika'(20170625) Achillea millefolium 'Paprika' (20170625) | 영문명 yarrow 아킬레아 밀레폴리움 '파프리카' Achillea millefolium 'Paprika'  | 이명※기본종 Achillea millefolium L. ※ 아킬레아 (Achillea)라는 속명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트로이 전쟁의 영웅 인 아킬레우스 (Achilles)를 말하며, 출혈을 멈추고 병사들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식물을 약용으로 사용했습니다. 종소명 millefolium은 고도로 절개된 단풍과 관련하여 "천 개의 잎"을 의미합니다.  ○ 국명정보 ○ 국명의 유래 ○ 분류체계Asteraceae 국화과 > Achillea 톱풀속아킬레아 밀레폴리움 '파프리카' Achillea millefolium 'Pap.. 2025. 3. 29.
포도(20170624) 포도(20170624) | 葡萄, 포도나무Po-doVitis vinifera L.  | 다른학명재배식물 ○ 국명정보포도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1. 포도라는 이름은 한자명 葡萄를 우리말로 발음한 것으로, 페르시아어 부도우(budow)를 한자 포도로 옮긴 것에서 유래했다. 서아시아가 원산지로 서역을 통해 중국에 전해졌고, 그것이 다시 고려 시대에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포도(葡萄)는 서아시아가 원산이다. 기독교와 관련이 깊어 성경에도 많이 등장한다. 중국 한무제 때 사신으로 갔던 장건이 가지고 왔다. 고대 페르시아어로 부도우(budow)라고 부르던 이 과일을 중국.. 2025. 3. 29.
Sambucus nigra f. porphyrophylla 'Eva' (20170624) Sambucus nigra f. porphyrophylla 'Eva' (20170624) | 영문명 elder 'Eva' 삼부쿠스 니그라 품종 포르피로필라 '에바'Sambucus nigra f. porphyrophylla 'Eva' | 이명 Sambucus 'Black Lace' / Sambucus nigra f. porphyrophylla 'Black Lace' ○ 국명정보 ○ 국명의 유래 ○ 분류Engler : Caprifoliaceae (인동과) > Sambucus (딱총나무속) APG Ⅳ : Viburnaceae (산분꽃나무과)  > Sambucus (딱총나무속)삼부쿠스 니그라 품종 포르피로필라 '에바' Sambucus nigra f. porphyrophylla 'Eva'  ○ 분포 | 자생지기본.. 2025. 3. 29.
Acer pseudoplatanus ‘Purpureum’ (20170624) Acer pseudoplatanus ‘Purpureum’ (20170624) | 영문명 Sycamore Maple 에이서 프세우도플라타나누스 '푸르푸레움' Acer pseudoplatanus ‘Purpureum’  | 이명 Acer pseudoplatanus f. purpureum, Acer pseudoplatanus 'Atropurpureum', Acer pseudoplatanus 'Purpureum Spaethii', Acer pseudoplatanus 'Spaethii'  ○ 국명정보 ○ 국명의 유래 ○ 분류Engler : Aceraceae (단풍나무과) > Acer (단풍나무속)APG Ⅳ : Sapindaceae (무환자나무과) > Acer (단풍나무속)에이서 프세우도플라타나누스 '푸르푸레움' A.. 2025. 3. 29.
Galium album(20170623) Galium album (20170623) | 영문명 white bedstraw, upright hedge bedstraw 갈리움 알붐 Galium album Mill. | 이명 ○ 국명정보 ○ 국명의 유래 ○ 분류체계Rubiaceae 꼭두서니과 > Galium 갈퀴덩굴속갈리움 알붐 Galium album Mill.  ○ 분포 | 자생지Galium 알붐은 영국에서 모로코, 동쪽에서 터키 및 서부 시베리아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서식하는 유럽 전역에 널리 퍼져 있습니다. 아일랜드, 스칸디나비아, 그린란드 및 남호주에서 소개되어 귀화되었습니다. 그것은 목초지와 풀이 무성한 은행, 특히 건조한 석회질 토양에서 발견됩니다. 영국에서 G. 앨범은 잉글랜드 저지대에서 지역적이며 북부에서는 드물고 스코틀랜드에서는 매우.. 2025. 3. 29.
지치(20170626) 지치(20170626) | 중국명 zǐcǎo (紫草), 한국명 jichi (지치), 일본명 murasaki (ムラサキ; 茈), 영문명 purple gromwell, red stoneroot, red gromwell, red-root gromwell, redroot lithospermum Ji-chi 정명 Lithospermum murasaki Siebold  | 서명 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 Zucc. 1846  ○ 국명정보지치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지치" 라는 이름은 에 기록된 芝草에 대한 한글 발음 지초가 '지최ㅡ>지취ㅡ>지치'로 변화애 셩성된 것이다. 뿌리를 약용하거나 주색을 내는 염료로 사용했다. 芝는 신령스럽게 .. 2025. 3. 29.
캐나다엉겅퀴 (20170627) 캐나다엉겅퀴 (20170627) | 영문명 creeping thistle, Canada thistle, field thistle, Canadian thistle, lettuce from hell thistle, California thistle,[10] corn thistle, cursed thistle, field thistle, green thistle, hard thistle, perennial thistle, prickly thistle, setose thistle, small-flowered thistle, way thistle, and stinger-needles시르시움 아르벤세Cirsium arvense (L.) Scop.  | 이명 Breea arvensis (L.) Less. / Card.. 2025. 3. 28.
서양톱풀(20170627) 서양톱풀(20170627) | 다닥잎톱풀, 천잎톱풀. 영명 Yarrow, gordaldoSeo-yang-top-pulAchillea millefolium L.귀화식물, 재배식물○ 국명정보서양톱풀 : 이창복 : (1969)○ 국명의 유래"서양 + 톱풀", 서양톱풀이라는 이름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톱풀에 비해 서양에서 들어온 톱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국화과(Asteraceae) 톱풀속(Achillea)서양톱풀 / 붉은톱풀 / 톱풀 / 산톱풀 / 큰톱풀  ○ 분포|자생지   유럽 원산, 북반구 온대(귀화) | 관상용, 약용으로 도입하여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되어 전국  들이나 풀밭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옆으로 뻗으면서 새싹을 낸다.   줄기  곧게 서고 높이가 60∼.. 2025. 3. 28.
펜실베니아산겨릅나무(20170627) 펜실베니아산겨릅나무(20170627) | 영문명 snakebark maple 펜실베니아산겨릅나무  Acer pensylvanicum L.(1753) | 이명 Acer canadense Duhamel / Acer pensylvanicum f. erythrocladum (Späth) Rehder Acer pensylvanicum subsp. erythrocladum Späth / Acer pensylvanicum subsp. typicum Wesm. ※ 속 이름  Acer는 단풍 나무의 라틴어 이름입니다.Linnaeus에 의해 철자가 틀렸지만 종소명 pensylvanicum 은 사실 이 나무가 자생하는 펜실베니아 주에 대한 언급입니다.  ○ 국명정보펜실베니아산겨릅나무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 2025. 3. 28.
버지니아바람꽃(20170629) 버지니아바람꽃(20170629) | 영문명 all anemone, thimble-weed, tumble-weed 버지니아바람꽃 Anemone virginiana L. | 이명 ○ 국명정보버지니아바람꽃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버지니아바람꽃이라는 이름은 이 식물의 학명에서 유래했다. ○ 분류체계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 Anemone (바람꽃속)버지니아바람꽃 Anemone virginiana L.  ○ 분포 | 자생지북미 동부가 원산지이며 건조하거나 개방 된 숲에서 자랍니다. 이 식물은 미국의 50 개 주 중 38 개 주에서 찾을 수 있으며 메인에서 미네소타까지 서쪽으로 이동하며 남쪽으로 조지아와 루이지애나까지 찾을 수 있습니다. ○ 개요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 2025.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