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5705

배나무(20240418) 배나무(20240418) | 배, 일본배, 일본배나무 Bae-na-mu Pyrus pyrifolia (Burm. f.) Nakai var. cultiva (Makino) Nakai ○ 국명정보 배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배 + 나무", 배나무라는 이름의 정확한 의미와 유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한국어와 같은 계열로 추정되는 길랴크어에서 페[pe]를 과즙이 많은 과일을 따다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추어 한국어의 배도 이와 유사한 뜻을 가진 것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있다. 한편 한자어 梨 또는 백과가 변해 배가 된 것으로보는 견해가 있으나 배나무는 한반도에도 야생하는 종류가 있고 한자 도래 잊ㄴ에도 식용했을 가능성이 높아 고유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2024. 4. 20.
중의무릇(20240417) 중의무릇(20240417) | 중무릇, 조선중무릇, 참중의무릇, 반도중무릇, 애기물구지, 누런애기물구지 Jung-ui-mu-reut Gagea lutea (L.) Ker Gawl. ○ 국명정보 중의무릇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중 + 의 + 무릇" 중의무릇이라는 이름은 무릇과 땅속 비늘줄기의모양이 비슷한 데서 유래했다. 중의무릇의 중은 승려를 낮추어 부르는 말로, 중의무릇은 산 속에 사는 무릇 또는 무릇보다 쓰임새가 못하다는 뜻으로 추정한다. 사찰에서 먹을 수 있다는 뜻에서 생겨난 이름이라는 견해가 있으나 식용하는 것에 대한 기록이 발견되지 않으며 독성이 강해 사망에 이르게도 하여 식용이 어려운 점을 감안할 때 타당성이 미흡하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 2024. 4. 20.
애기괭이눈(20240417) 애기괭이눈(20240417) | 덩굴괭이눈, 애기괭이눈풀, 蔓金腰(만금요, 중국명) Ae-gi-gwaeng-i-nun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원본 애기괭이눈 (tistory.com) ○ 국명정보 애기괭이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애기 + 괭이눈", 애기괭이눈이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작고 귀여운 괭이눈이라는 뜻에서 유래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괭이눈속(Chrysosplenium) 가지괭이눈 / 누른괭이눈 / 산괭이눈 / 선괭이눈 / 애기괭이눈 / 제주괭이눈 / 흰괭이눈(흰털괭이눈) / 금괭이눈 / 시베리아괭이눈 / 큰괭이눈 .. 2024. 4. 20.
선괭이눈(20240417) 선괭이눈(20240417) | 큰웅예괭이눈, 큰수술괭이눈, 큰바위괭이눈, 방울괭이눈, 방울괭이눈풀, 선괭이눈풀 Seon-gwaeng-i-nun Chrysosplenium pseudofauriei H. Lév. ○ 국명정보 선괭이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선 + 괭이눈", 선괭이눈이라는 이름은 줄기에 털이 없이 꼿꼿이 서 있고 괭이눈을 닮은 모습에서 붙여졌다. 에서 괭이눈을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선을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괭이눈속(Chrysosplenium) 가지괭이눈 / 누른괭이눈 / 산괭이눈 / 선괭이눈 / 애기괭이눈 / 제주괭이눈.. 2024.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