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5761

마가목(20240427) 마가목(20240427) | 은빛마가목, 남등(南藤), 석남-등(石南藤), 정공-등(丁公藤)Ma-ga-mokSorbus commixta Hedl. ○ 국명정보마가목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은빛마가목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1. "마가목" 이라는 이름은 다양한 한자 표현에 馬가 공통적으로 쓰인 것을 볼 때 말[馬]과 연관해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하지만 정확한 어원이나 의미는 확인되지 않는다. 한자 표기는 馬價木, 馬家木, 馬加木, 馬可木, 馬哥木 등인데 고유명을 한자로 차자해 표기한 것으로 추정한다. 한편 새싹이 돋을 때 말의 이빨처럼 힘차게 솟아난다는 뜻의 馬牙木에서 유래했다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馬牙木이라는 한자 표현은 일제강점기에 저술된 조선식물.. 2024. 4. 27.
이팝나무(20240427) 이팝나무(20240427) | 니암나무, 뻣나무, 니팝나무I-pap-na-nu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 국명 정보  -이팝나무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니팝나무 : 조선삼림수목감요-니암나무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뻣나무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국명의 유래 "이팝 + 나무", 이팝나무라는 이름은 흰 꽃이 피는 모습이 쌀밥(이팝)을 연상시키는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자생지 중의 하나인 전라남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는 백반목(白飯木)이라는 이름을 기록해 그 뜻을 뒷받침하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이밥 ※'이바지(이+받+이)' 라는 .. 2024. 4. 27.
점나도나물(20240423) 점나도나물(20240423) | 물네나물, 섬점나도나물, 섬좀나도나물Jeom-na-do-na-mulCerastium fontanum subsp. vulgare (Hartman) Greuter & Burdet ※원본 점나도나물 (tistory.com) ○ 국명정보점나도나물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점 + 나도 + 나물"  점나도나물이라는 이름은 작고 볼품이 없지만 나물로 이용할 수 있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나도나물은 털이 많지만 나물이 될 수 있다는 뜻이고, 점은 옛말에서 적다는 뜻의 좀, 또는 조금의 의미로 사용했다. 털을 잔뜩 달고 로제트로 겨울을 난 어린 잎이 그다지 맛이 있지는 않았던 듯하므로 그러한 식용 문화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이해된다. 졍.. 2024. 4. 25.
꼭두서니(20240423) 꼭두서니(20240423) | 꼭두선이, 꼭도선이, 가삼자리, 가삼사리Kkok-du-seo-niRubia akane Nakai※ 원본 꼭두서니 (tistory.com)  ○ 국명정보꼭두선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꼭두서니 : 이춘녕, 안학수 (1963)○ 국명의 유래"꼭두 + 서니", 꼭두서니라는 이름은 덩굴로 꼬불거리며 자라고 뿌리를 약재와 염료로 이롭게 사용한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예로부터 뿌리를 염료와 약재로 사용했다. 문헌상 최초로 발견되는 한글명은 곱도숑이다. 곱도는 꼬불꼬불휘돌다는 뜻이다. 한편 뿌리로 꼭두색(빨간색) 물을 들이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꼭두서니과.. 2024.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