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양치식물424

Angiopteris sp. (20250511) Angiopteris sp. (20250511) | 모식종 Angiopteris evecta (Forster) Hoffmann안지오프테리스 속Angiopteris Hoffm. | 이명 ○ 국명정보 ○ 국명의 유래 ○ 분류Marattiaceae 마라티아과 > Angiopteris 안지오프테리스 속안지오프테리스 속 Angiopteris Hoffm. ○ 분포|자생지 Angiopteris evecta는 마다가스카르에서 남태평양 섬에 이르는 고열대 지방에서 발견된다. 하와이, 자메이카 및 중앙 아메리카 일부 지역에 도입되어 귀화되었으며, 낮은 고도의 배수구에서 침입성 잡초가되었습니다. ○ 형태Marattiaceae 계통의 거대한 상록 양치류의 속입니다. 길쭉한 synangia와 기는 뿌리 줄기를 가진 작은 .. 2025. 5. 13.
느리미고사리(20250508) 느리미고사리(20250508) | 눌메기고사리Neu-ri-mi-go-sa-riDryopteris tokyoensis (Matsum. ex Makino) C.Chr.○ 국명정보느리미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느리미 + 고사리", 느리미고사리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옛말 느리다는 늘이다. 또는 늘어뜨리다라는 뜻이 있고 이것의 명사형인 느림은 장막이나 깃발 따위의 장식으로 늘어뜨린 좁은 물체를 뜻한다. 느리미고사리는 깃조각의 아랫부분이 귀모양으로 돌출하는 특징이 있어 다른 종과 구별되데 이 귀모양의 돌출형태를 느림(느리미)로 본 것에서 유래했다고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 2025. 5. 10.
고비(20250508) 고비(20250508) | 가는고비, 괴비, 괴침/괴비나물Go-biOsmunda japonica Thunb. ○ 국명정보고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고비", 라는 이름의 어원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으나, 고사리와 마찬가지로 싹이 돋을 때의 구부러진 생김새 때문에 휘었다는 뜻의 곱다와 명사화 접사 ㅇ·ㅣ가 합쳐져 고ㅂ·ㅣㅡ>고비로 변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고비과(Osmundaceae) 고비속(Osmunda) 고비 / 꿩고비 / 음양고비 ○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등 동남아시아 | 전국 산지의 숲 속이나 냇가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하록성 근경 굵고.. 2025. 5. 10.
청나래고사리(20250508) 청나래고사리(20250508) | 청나래개면마, 청날개고사리, 포기고사리Cheong-na-rae-go-sa-riMatteuccia struthiopteris (L.) Todaro○ 국명 정보청나래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국명의 유래"청나래 + 고사리", 청나래고사리라는 이름은 잎이 자라는 모습이 푸른 날개를 연상시킨다는 뜻에서 붙여진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청나래고사리속(Matteuccia) 청나래고사리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 일본, 유럽, 북미 | 충남 이북의 그늘진 낙엽 활엽수림, 양지바른 습원에서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하록성이다. 근경 직립하며 포복지를 내어 번식한다. 직립경은 덩어리졌으며 지.. 2025.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