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양치식물424

용비늘고사리(20250307) 용비늘고사리(20250307) | 관음고사리 . 영문명 Turnip fern Yong-bi-neul-go-sa-ri Angiopteris lygodiifolia Rosenst. | 이명재배식물○ 국명정보용비늘고사리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용비늘고사리라는 이름은 잎이 용의 비늘을 연상케 하는 데서 유래했다. ○ 분류체계 Marattiaceae 용비늘보사리과 > Angiopteris 용비늘고사리속용비늘고사리 Angiopteris lygodiifolia Rosenst.   ○ 분포 | 자생지이 종의 원산지는 S. Central & S. Japan에서 대만까지입니다.  ○ 형태다년생 식물이며 주로 온대 생물 군계에서 자랍니다. 잎 ca. 2m; stipes 녹색, 원통형, 깊은 홈이없는 sti.. 2025. 3. 8.
숟갈일엽(20250307) 숟갈일엽(20250307) | 영문명 Linear-sorus lance fern Sut-gal-il-yeop Loxogramme duclouxii Christ  | 이명 ○ 국명정보숟갈일엽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숟갈일엽이라는 이름은 잎의 모양이 숟갈을 닮은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체계 Polypodiaceae  고란초과 > Loxogramme 주걱일엽속숟갈일엽 Loxogramme duclouxii Christ   ○ 분포 | 자생지일본 중부 이남, 중국 중부 이남, 타이완, 인도 동북부, 히말라야, 태국 및 베트남을 비롯한 인도차이나 반도 등  | 제주도 한라산 곶자왈 지역의 나무 또는 바위 겉에 드물게 자란다.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 형태 곶자왈 지역의 나무 또는 .. 2025. 3. 8.
숫돌담고사리(20241117) 숫돌담고사리(20241117) |  수돌담고사리, 톱풀고사리, 편백고사리Sut-dol-dam-go-sa-riAsplenium prolongatum Hook. ○ 국명정보숫돌담고사리 :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 국명의 유래"숫  +  돌담고사리", 숫돌담고사리라는 이름은 돌담고사리를 닮았으나 더 억세고 거칠어 보인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숫잔대, 숫명다래, 수까치깨에서 처럼  '숫'은 수컷을 뜻한다. 숫은 암컷에 비해 보다 더 억세고 거칠어 보일 때 사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분류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꼬리고사리속(Asplenium) 파초일엽 / 차꼬리고사리 / 개차고사리 / 깃고사리 / 반들깃고사리 / 숫돌담고사리 / 쪽잔고사리 /.. 2024. 11. 17.
왁살고사리(20240508) 왁살고사리(20240508) | 큰가새고사리, 큰산고사리, 좁은잎왁살고사리Wak-sal-go-sa-riLeptorumohra miqueliana (Maxim. ex Franch. et SAv.) H. Ito○ 국명정보왁살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왁살 + 고사리", 왁살고사리라는 이름의 정확한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왁살에 포악하고 드세다라는 의미가 있으므로 식물체가 대형종이고 털 등이 밀생하는 모습을 빗댄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왁살고사리속(Leptorumohra) 왁살고사리 ○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 강원,.. 2024.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