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351

큰개불알풀(20240422) 큰개불알풀(20240422) | 큰개불알꽃, 큰지금, 개소시랑개비 Keun-gae-bul-al-pul Veronica persica Poir. | 영명 : Field Speedwell, Bird`s eye, 중국명 : 地錦, 북한명 : 왕지금꼬리풀 ※귀화식물 ○ 국명 정보 큰개불알풀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큰 + 개불알풀", 큰개불알풀이라는 이름은 개불알풀에 비해 큰 꽃이 핀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현삼과(Scrophulariaceae)>현삼아과(Scrophularioideae>현삼족(Scrophularieae)개불알풀속(Veronica) =>최근 APG IV분류체계에서는 식물계>속씨식물군>진정쌍떡잎식물군 >국화군>꿀풀목 >질경이과(Plantaginaceae)>개불알풀속으로 분류.. 2024. 4. 23.
좀남색잎벌레(20240422) 좀남색잎벌레(20240422) Jom-nam-saek-ip-beol-re Gastrophysa atrocyanea Motschulsky | ○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Coleoptera (딱정벌레목) > Polyphaga (풍뎅이아목) > Cucujiformia (머리대장하목) > Chrysomeloidea (잎벌레상과) > Chrysomelidae (잎벌레과) > Chrysomelinae (잎벌레아과) > Chrysomelini (잎벌레족) > Gastrophysina > Gastrophysa (가시다리잎벌레속) > Gastrophysa > atrocyanea (좀남색잎벌레) 좀남색잎벌레 Gastro.. 2024. 4. 23.
고로쇠나무(20240422) 고로쇠나무(20240422) | 단풍나무, 신나무, 참고리실나무, 개고리실나무, 개고로쇠나무, 우산고로쇠, 섬고로쇠 Go-ro-soe-na-mu Acer pictum Thunb. var. mono (Maxim.) Maxim. ex Franch. |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 국명정보 고로쇠나무: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 국명의 유래 1. "고로쇠 + 나무", 고로쇠나무라는 이름은 초봄에 수액을 채위해 먹으면 뼈에 이롭다는 뜻의 한자어 골리수(骨利水) 또는 골리수(骨利樹)에서 유래한 거승로 알려져 있다. 에서 평북방언을 채록함으로써 국명으로 고로쇠나무가 정착되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 2024. 4. 23.
긴병꽃풀(20240422) 긴병꽃풀(20240422) | 조선광대수염, 참덩굴광대수염, 병꽃풀, 덩굴광대수염, 장군덩이 Gin-byeong-kkot-pul Glechoma grandis (A.Gray) Kuprian. ○ 국명정보 긴병꽃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긴 + 병꽃풀", 긴병꽃풀이라는 이름은 꽃부리의 통이 길어 긴 병을 연상시킨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꿀풀과(Labiatae) 긴병꽃풀속(Glechoma) 긴병꽃풀 / 무늬긴병꽃풀(재배종)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시베리아), 일본, 한국 | 경기, 경남북, 전남, 황해, 평안도 등 산과 들 습한 양지에서 자란다. ○ 형태 여러해.. 2024. 4. 23.
물푸레나무(20240422) 물푸레나무(20240422) | 쉬청나무, 떡물푸레나무, 광능물푸레나무, 민물푸레나무 Mul-pu-re-na-mu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 국명 정보 -물푸레나무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쉬청나무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떡물푸레나무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광능물푸레나무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민물푸레나무 :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국명의 유래 "물푸레 + 나무", 물푸레나무라는 이름은 옛말에서 유래한 것인데 물[水]과 푸레[靑]와 나무[木]의 합성어로, 가지를 꺾어 물에 담그면 푸른 수액이 우러나와 물이 푸르게 된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므푸레>무프레>무푸레>물.. 2024. 4. 23.
검털파리(20240422) 검털파리(20240422) Geom-teol-pa-ri Bibio tenebrosus Coquillett, 1898 ○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Diptera (파리목) > Nematocera (모기아목) > Bibionomorpha (털파리하목) > Bibionoidea (털파리상과) > Bibionidae (털파리과) > Bibioninae (털파리아과) > Bibio > tenebrosus (검털파리) 검털파리 Bibio tenebrosus Coquillett, 1898 ○ 분포 한국, 일본 | 우리나라 4~11월 숲(잡목림) 가장자리에 서식한다. ○ 개요 특징 몸길이는 11-14mm이다. 가슴부위.. 2024. 4. 22.
암먹부전나비(20240422) 암먹부전나비(20240422) | 검은제비숫돌나비 Am-meok-bu-jeon-na-bi Everes argiades Pallas, 1771 | ○ 분류체계 동물계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나비목 > 부전나비과 > Everes속 암먹부전나비 Everes argiades Pallas, 1771 ○ 분포 일본, 중국, 몽골, 중앙아시아, 유럽 등지 |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한다. ○ 개요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는 보통 종이다. 국외에는 일본, 중국, 몽골, 중앙아시아,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아종으로는 T. h. hamada Druce (Loc. Korea, Japan), T. f. dea Zhdanko, 2000 (Loc. Amur), T. f. sachalinensis (Matsumura, 1925) (.. 2024. 4. 22.
열점박이잎벌레 애벌레(20240422) 열점박이잎벌레 애벌레(20240422) | 구기자열점잎벌레 애벌레 Yeol-jeom-bak-i-ip-beol-re Ae-beol-re Lema (Lema) decempunctata Gebler, 1829 | ○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Coleoptera (딱정벌레목) > Polyphaga (풍뎅이아목) > Cucujiformia (머리대장하목) > Chrysomeloidea (잎벌레상과) > Chrysomelidae (잎벌레과) > Criocerinae (긴가슴잎벌레아과) > Lemini > Lema (닮은벼잎벌레속) > Lema > decempunctata (열점박이잎벌레) 열점박이잎벌레 Lema (.. 2024. 4. 22.
솜나물(20240421) 솜나물(20240421) | 까치취, 부시깃나물 Som-na-mul Leibnitzia anandria (L.) Turcz. | 이명 Tussilago anandria L. ○ 국명정보 솜나물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솜 + 나물", 솜나물이라는 이름은 전체에 솜 같은 털이 많고 나물로 식용한 것에서 유래했다. 봄에 어린잎을 채취해서 나물로 식용했다. 일제감점기에 저술된 조선의 구황식물에 최초 기록됐으며 당시 지리산 부근에서 사용하던 이름을 채록한 것이다. 금강산 지역에서는 까치취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국화과(Asteraceae) 솜나물속(Leibnitzia) 솜나물 ○ 분포|자생지 러시아.. 2024. 4. 22.
벌씀바귀(20240421) 벌씀바귀(20240421) | 벌씀바기, 들씀바귀 Beol-sseum-ba-gwi Ixeris polycephala Cass. ○ 국명정보 벌씀바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벌 + 씀바귀", 벌씀바귀라는 이름은 벌판에서 자라는 씀바귀라는 뜻에서 유래했다.줄기와 어린잎을 식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국화과(Asteraceae)>치커리아과(Cichorioideae)>치커리족(Cichorieae)>선씀바귀속(Ixeris) 갯씀바귀 / 냇씀바귀 / 노랑선씀바귀 / 벋음씀바귀 / 벌씀바귀 / 좀씀바귀 / 함흥씀바귀 / 선씀바귀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전국 들판, 논둑, 밭둑 등에 자란다. ○ 형태 한.. 2024. 4. 22.
큰줄흰나비(20240421) 큰줄흰나비(20240421) Keun-jul-hin-na-bi Pieris melete Ménétriès, 1857 | ○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Lepidoptera (나비목) > Papilionoidea (호랑나비상과) > Pieridae (흰나비과) > Pierinae (흰나비아과) > Pierini > Pieris (흰나비속) > melete (큰줄흰나비) 큰줄흰나비 Pieris melete Ménétriès ○ 분포 | 우리나라 ○ 개요 앞날개와 뒷날개의 시맥을 따라 검은 줄이 있다. 알은 노란색이고 길이는 1.2mm이다. 1년에 3-4회 발생하며 4월부터 나타나 주로 잡풀 속에 알을 낳으며 .. 2024. 4. 21.
멧팔랑나비(20240421) 멧팔랑나비(20240421) | 영문명 duskywings Met-pal-rang-na-bi Erynnis montana Bremer, 1861 | ○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Lepidoptera (나비목) > Hesperioidea (팔랑나비상과) > Hesperiidae (팔랑나비과) > Pyrginae (흰점팔랑나비아과) > Pyrgini > Erynnis (멧팔랑나비속) > montana (멧팔랑나비) 멧팔랑나비 Erynnis montana Bremer, 1861 | 이명 Thanaos leechi Mori, 1929 ○ 분포 극동러시아, 일본, 타이완 등 | 우리나라 전역에 서식한다. ○ 개요.. 2024. 4. 21.
호랑나비(20240421) 호랑나비(20240421) | 범나비 Ho-rang-na-bi Papilio xuthus Linnaeus, 1767 | 이명 Papilio xuthus hondoensis Esaki, 1939 / Papilio xuthus xuthulus Leech, 1894 / Papilio xuthus xuthus Okamoto, 1923 ○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Lepidoptera (나비목) > Papilionoidea (호랑나비상과) > Papilionidae (호랑나비과) > Papilioninae (호랑나비아과) > Papilionini > Papilio (호랑나비속) 국내종 호랑나비 Papilio xu.. 2024. 4. 21.
벚잎꽃사과나무(20240421) 벚잎꽃사과나무(20240421) | 벚잎꽃사과, 꽃사과, 영명 Crabapple Chinese, 중국명 楸子, Beot-ip-kkot-sa-gwa Malus prunifolia (Willd.) Borkh. 재배식물 ○ 국명정보 벚잎꽃사과나무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 "벚잎 + 꽃사과" 꽃이 사과나무보다 화려하게 피는 꽃사과와 닮았는데 잎이 벚나무 잎과 비슷한 특징에서 국명이 유래한 것이다. ○ 분류 장미과(Rosaceae) 사과나무속(Malus) 야광나무 / 개야광나무 / 아그배나무 / 개아그배나무 / 민야광나무 / 좀야광나무 ○ 분포|자생지 원산지 중국 북부지역,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 | 전국의 공원이나 정원에 관상용으로 심는다. ○ 형태 수형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높이 5-8m .. 2024. 4. 21.
애기향모(20240421) 애기향모(20240421) Ae-gi-hyang-mo Anthoxanthum glabrum (Trinius) Veldkamp | Hierochloe glabra Trin. ○ 국명정보 애기향모 : 정수영 외 4인(2011) ○ 국명의 유래 "애기 + 향모", 애기향모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애기처럼 키가 작은 향모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향모에 비해 소수의 길이가 보다 작은 형태적 특징이 있다. ○ 분류 벼과(Gramineae) 향기풀속(Anthoxanthum) 까락향기풀 / 향기풀 / 포테향기풀 / 애기향모 ○ 분포|자생지 한국 | 전남, 경북, 경기, 서울(한강)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10-30cm로 마디가 있다. 가느다란 근경이 있다. 잎 잎의 엽초는 연모와 굽은 털이 있으며, 마디 사.. 2024.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