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몽골에서 만난 식물

댑싸리(20170907)

by 풀꽃나무광 2025. 3. 29.

댑싸리(20170907) | 대싸리, 비싸리, 공쟁이, 답싸리

Daep-ssa-ri

Kochia scoparia (L.) Schrad. var. scoparia

 

○ 국명정보
댑싸리(비싸리, 공재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댑 + 싸리", 댑싸리라는 이름은 옛이름인 '대ㅄ ·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15세기 문헌에 나타난다. 대는 唐을 훈독한 것으로 중국에서 전래되었다는 뜻이고, ㅄ ·리는 싸리를 뜻하는 것으로 줄기로 싸리비를 만들어 썼던 데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학명의 뜻
 속명 Kochia 는 독일 식물학자 Wilhelm Deniel Joseph Koch의 기념학명으로 댑싸리속을 지칭, 종소명 scoparia 은 '빗자루 모양'을 뜻한다.(들꽃카페 참고)

 

 분류
 명아주과(Chenopodiaceae) 댑싸리속(Kochia)

 댑싸리 / 갯댑싸리

 

 분포|자생지
 
  아시아와 유 |  전국 각처에서 마당비를 만들기 위해 뜰이나 집 둘레에 심어 기른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염생식물
   줄기  키가 1m에 이르며, 곧추 자라고 가지가 많다.
     피침형, 어긋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긴 털이 약간 있다.
    옅은 녹색을 띠는 작은 꽃은 7-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송이씩 모여 핀다. 꽃받침은 다섯 갈래로 갈라지며, 암술·수술이 함께 달린 꽃과 암술만 달린 꽃이 모두 있다.  
   열매  포과, 납작한 공 모양이다.

 

 동정 포인트
1. 줄기가 곧게 자라고 꽃 밑에 털이 약간 있다.---------------댑싸리  

1. 줄기가 꾸불꾸불하고 어린 부분에 갈색 면모가 밀생한다. 꽃 밑에 털이 밀생한다.---------갯댑싸리

 

 활용
  식물체는 마른 다음 빗자루를 만들고 종자는 약용으로 사용한다.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2017. 09. 07. 몽골 테를지국립공원

 

'해외식물 > 몽골에서 만난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체꽃(20170908)  (0) 2025.03.30
사향엉겅퀴(20170908)  (0) 2025.03.30
자주꽃방망이(20170908)  (0) 2017.09.15
은빛꼬리풀(20170915)  (0) 2017.09.15
눈용담 (20170915)  (0) 2017.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