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483

각시둥굴레(20240423) 각시둥굴레(20240423) | 둥굴레아재비, 각씨둥굴레, 애기둥글레, 좀각시둥굴레, 한라각시둥굴레Gak-si-dung-gul-rePolygonatum humile Fisch. ex Maxim.각시둥굴레 원본 https://ihogyun.tistory.com/2762723 ○ 국명정보각시둥굴레 : 각씨둥굴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둥굴레아재비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각시 + 둥굴레"  각시둥굴레라는 이름은 둥굴레를 닮았으나 각시처럼 식물제가 작고 귀엽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는 둥굴레를 닮았다는 뜻에서 둥굴레아재비를 신칭해 기록했으나 에서 각씨둥굴레를 거쳐 에서 각시둥굴레로 정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 2024. 4. 24.
나도개감채(20240423) 나도개감채(20240423) | 산무릇, 가는잎두메무릇, 꽃개감채Na-do-gae-gam-chaeLloydia triflora (Ledeb.) Baker※종소명 'triflora'는 꽃이 3개가 달려 핀다는 뜻이다. ○ 국명정보나도개감채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국명의 유래 "나도 + 개감채",  나도개감채라는 이름은 개감채를 닮았지만 형태적으로 이와 다른 특징을 지닌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ales 백합목 > Liliaceae 백합과 > Lloydia 개감채속개감채 / 나도개감채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우수리), 일본, 한국 | 지리산 이북의 산지 숲 속 비교적 돌이 많고 볕이.. 2024. 4. 24.
황새냉이(20240423) 황새냉이(20240423) | 드렁냉이(경기), 황새나물(경남), 황새나생이(충북), 弯曲碎米荠 [wan qu sui mi ji], Wavy bittercressHwang-sae-naeng-iCardamine flexuosa With. ○ 국명정보황새냉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황새 + 냉이",   황새냉이라는 이름은 냉이와 유사한데 냉이에 비해 맛이 없고 열매가 긴 뿔 모양인 것을 황새에 비유한 데서 유래했다. 황새냉이의 옛이름은 의 두루미냉이였으나 근세 황새냉이로 변하여 황새냉이속 식물을 일컫는 이름이 되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십자화과(Brassicaceae) 황새냉이속(Cardami.. 2024. 4. 24.
향모(20240423) 향모(20240423) | 참기름새, 향기름새, 털향모 Hyang-mo Hierochloe odorata (L.) P.Beauv. ○ 국명정보 향모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향모" 라는 이름은 한자어 香茅(향모)에서 유래한 것으로, 뿌리에서 향기가 나는 띠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Gramineae) 향모속(Hierochloe) 향모 / 산향모 / 애기향모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캄차카), 몽골, 일본, 한국 | 전국의 습기 있는 풀밭, 길가, 모래땅에 자란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 옆으로 벋는다. 줄기 곧게 자라고 높이 20-60cm, 털이 없고 3-4개의 마디가 있으며 윗부분은 밋밋하다. 잎 잎집에 짧은 털이 있다. 잎.. 2024. 4. 24.
병꽃나무(20240423) 병꽃나무(20240423) | Korean weigela Byeong-kkot-na-mu Weigela subsessilis (Nakai) L. H. Bailey ※한반도고유종 ○ 국명정보 병꽃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병 + 꽃 + 나무", 병꽃나무라는 이름은 꽃 모양이 병처럼 보인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5월에 피는 꽃은 긴 깔때기 모양으로 안쪽 속은 희지만 겉은 노란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한다. 자생지 중의 하나인 함경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참고 : 박상진 (2019)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병꽃나무과(Diervillaceae) 병꽃나무속(Weigela) 골병꽃나무 / 병꽃나무 / 붉은병꽃나무 / 산소영도.. 2024. 4. 24.
큰구슬붕이(20240423) 큰구슬붕이(20240423) | 큰구슬봉이 Keun-gu-seul-bung-i Gentiana zollingeri Fawc. ○ 국명정보 큰구실붕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큰구슬붕이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큰 + 구슬붕이", 큰구슬붕이라는 이름은 구슬붕이 종류 중에서 식물체가 크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구슬붕이에 비해 다소 크게 자라는 특징이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용담과(Gentianaceae) 용담속(Gentiana) 흰그늘용담 / 구슬붕이 / 좀구슬붕이 / 백두산구슬붕이 / 봄구슬붕이 / 고산구슬붕이 / 큰구슬붕이 / 흰큰구슬붕이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아무르, 사할린), 일.. 2024. 4. 24.
덜꿩나무(20240423) 덜꿩나무(20240423) | 긴잎덜꿩나무, 긴잎가막살나무, 가새백당나무 Deol-kkwong-na-mu Viburnum erosum Thunb. ○ 국명정보 덜꿩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 국명의 유래 "덜꿩 + 나무"로 분석됨. 덜꿩은 들꿩이 변한 말이다. 들꿩은 우리나라 텃새로 여러 마리가 무리를 지어 다니면서 열매나 씨앗을 먹고 산다. 들판에 사는 꿩을 들꿩이라고 하는데 들꿩이 이 나무의 열매를 좋아한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출전:박상진(2019) ○ 분류 산토끼꽃목(Dipspcales)>연복초과(Adoxaceae)>산분꽃나무속(Viburnum) ※앵글러 분류 시스템에서는 산분꽃나무과(또는 인동과) 산분꽃나무속로 분류함. 가막살나무 / 배암나무 / 분꽃나무 / 분단.. 2024. 4. 24.
세잎양지꽃(20240423) 세잎양지꽃(20240423) | 털양지꽃, 털세잎양지꽃, 우단양지꽃 Se-ip-yang-ji-kkot Potentilla freyniana Bornm. ○ 국명 정보 세잎양지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 유래 "세잎 + 양지꽃", 세잎양지꽃이라는 이름은 잎이 3개씩 달리는 양지꽃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깃모양겹잎인 양지꽃과 달리 작은잎이 3장씩 달리는 특징이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장미과(Rosaceae) 양지꽃속(Potentilla) 가락지나물 / 개소시랑개비 / 검은낭아초 / 눈양지꽃 / 당양지꽃 / 딱지꽃 / 물싸리 / 물싸리풀 / 물양지꽃 / 민눈양지꽃 / 세잎양지꽃 / 솜양지꽃 / 양지꽃 / 은양지꽃 / 좀.. 2024. 4. 24.
경성사초(20240423) 경성사초(20240423) | Gyeong-seong-sa-cho Carex pallida C. A. Meyer ○ 국명정보 경성사초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경성 + 사초", 경성사초라는 이름은 서울(경성)에 나는 사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괭이사초절(Vignea) 진퍼리사초, 대암사초, 애괭이사초, 산괭이사초, 괭이사초, 대구사초, 양덕사초, 도랭이사초, 가는사초, 경성사초, 덩굴사초, 바위사초, 함북사초, 산타래사초, 산사초, 북사초, 큰산사초, 나도별사초, 충실사초, 타래사초, 벌사초, 수원사초, 통보리사초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동시베리아에), 몽골 , 일본, 한국 | 경기, .. 2024. 4. 24.
들현호색(20240423) 들현호색(20240423) | 꽃나물, 에게잎, 외잎현호색, 세잎현호색, 논현호색, 홀세잎현호색, 왕현호색/큰현호색 Deul-hyeon-ho-saek Corydalis ternata (Nakai) Nakai ○ 국명정보 들현호색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들 + 현호색", 들현호색이라는 이름은 들에서 자라는 현호색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에서 전통 명칭 현호색을 기본으로 하고 산지를 나타내는 들을 추가하여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현호과(Fumariaceae) 현호색속(Corydalis) 갈퀴현호색 / 갯괴불주머니 / 괴불주머니 / 난장이현호색 / 남도현호색 / 눈괴불주머니 / 들현호색 / 산괴불주머니 /.. 2024. 4. 24.
산꿩의밥(20240423) 산꿩의밥(20240423) San-kkweong-ui-bap Luzula multiflora Lej. ○ 국명정보 산꿩의밥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산 + 꿩 + 의 + 밥", 산꿩의밥이라는 이름은 꿩의밥과 닮았지만 주로 산에서 자란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Juncales 골풀목 > Juncaceae 골풀과 > Luzula 꿩의밥속 구름꿩의밥 / 꿩의밥 / 별꿩의밥 / 산꿩의밥 / 산새밥 / 새밥 / 오대산새밥 / 좀꿩의밥 / 두메꿩의밥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일본,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코카사스, 유럽,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한국 | 함남북, 경남(지리산,.. 2024. 4. 24.
큰줄흰나비(20240423) 큰줄흰나비(20240423)Keun-jul-hin-na-biPieris melete Ménétriès, 1857  | ○ 분류체계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Lepidoptera (나비목) > Papilionoidea (호랑나비상과) > Pieridae (흰나비과) > Pierinae (흰나비아과) > Pierini > Pieris (흰나비속) > melete (큰줄흰나비)큰줄흰나비 Pieris melete Ménétriès ○ 분포 | 우리나라 ○ 개요앞날개와 뒷날개의 시맥을 따라 검은 줄이 있다. 알은 노란색이고 길이는 1.2mm이다. 1년에 3-4회 발생하며 4월부터 나타나 주로 잡풀 속에 알을 낳으며 유충은 .. 2024. 4. 24.
큰개불알풀(20240422) 큰개불알풀(20240422) | 큰개불알꽃, 큰지금, 개소시랑개비 Keun-gae-bul-al-pul Veronica persica Poir. | 영명 : Field Speedwell, Bird`s eye, 중국명 : 地錦, 북한명 : 왕지금꼬리풀 ※귀화식물 ○ 국명 정보 큰개불알풀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큰 + 개불알풀", 큰개불알풀이라는 이름은 개불알풀에 비해 큰 꽃이 핀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현삼과(Scrophulariaceae)>현삼아과(Scrophularioideae>현삼족(Scrophularieae)개불알풀속(Veronica) =>최근 APG IV분류체계에서는 식물계>속씨식물군>진정쌍떡잎식물군 >국화군>꿀풀목 >질경이과(Plantaginaceae)>개불알풀속으로 분류.. 2024. 4. 23.
좀남색잎벌레(20240422) 좀남색잎벌레(20240422)Jom-nam-saek-ip-beol-reGastrophysa atrocyanea Motschulsky | ○ 분류체계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Coleoptera (딱정벌레목) > Polyphaga (풍뎅이아목) > Cucujiformia (머리대장하목) > Chrysomeloidea (잎벌레상과) > Chrysomelidae (잎벌레과) > Chrysomelinae (잎벌레아과) > Chrysomelini (잎벌레족) > Gastrophysina > Gastrophysa (가시다리잎벌레속) > Gastrophysa > atrocyanea (좀남색잎벌레)좀남색잎벌레 Gas.. 2024. 4. 23.
고로쇠나무(20240422) 고로쇠나무(20240422) | 단풍나무, 신나무, 참고리실나무, 개고리실나무, 개고로쇠나무, 우산고로쇠, 섬고로쇠 Go-ro-soe-na-mu Acer pictum Thunb. var. mono (Maxim.) Maxim. ex Franch. |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 국명정보 고로쇠나무: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 국명의 유래 1. "고로쇠 + 나무", 고로쇠나무라는 이름은 초봄에 수액을 채위해 먹으면 뼈에 이롭다는 뜻의 한자어 골리수(骨利水) 또는 골리수(骨利樹)에서 유래한 거승로 알려져 있다. 에서 평북방언을 채록함으로써 국명으로 고로쇠나무가 정착되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 2024.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