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개풀
조개풀 | 솜털개쇠보리, 黃草 Jo-gae-pul Arthraxon hispidus (Thunb.) Makino ○ 국명정보 조개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조개 + 풀" 조개풀이란 이름은 긴 잎집을 가진 잎의 모양이 조개를 닮은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예로부터 노란색을 내는 염색제로 사용했고 한자명 黃草는 이 때문에 유래한 이름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조개풀속(Arthraxon) 조개풀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몽고,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시베리아), 일본, 한국, 인도, 말레이시아 | 전국 도랑이나 논밭 언저리, 길가에서 흔히 자란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밑에서 옆..
2014. 10. 16.
갈대
갈대 | 갈때, 북달, 갈, 달, Gal-dae Phragmites communis Trin. ○ 국명정보 갈대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갈때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갈 + 대", 갈대의 직접적인 어원은 의 'ㄱ·ㄽ대[蘆管]인데, 이는 갈과 대나무 또는 대롱의 합성어이다. 갈의 정확한 뜻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한국어와 유사한 언어 계통인 터기어에 Kalem이 있으므로 한민족이 한반도에 이동하기 이전에 형성된 말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갈대속(Phragmites) 갈대 / 달뿌리풀 / 큰달뿌리풀 ○ 분포|자생지 온대와 한대 | 전국 습지나 갯가, 또는 호수 주변의 모래땅에 ..
2014. 10. 16.
새(1)
새 | 야고초(野古草) Sae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 Arundinella hirta (Thunb.) Koidz. ○ 국명정보 새 : 정태현 외 2 (1949) 야고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새" 라는 이름은 억새, 기름새, 오리새 등과 같이 벼과의 좁은 잎을 가진 식물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우리말 표현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Gramineae) 새속(Arundinella) 털새 / 새 ○ 분포|자생지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등 | 전국 각지 삱이나 들판의 풀밭, 도로나 농로 주변에 흔하게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뿌리 지하경이 뻗으..
2014. 10.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