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기장대풀 기장대풀 | 애기올미 Gi-jang-dae-pul Isachne globosa (Thunb.) Kuntze | Milium globosum Thunb. ○ 국명정보 기장대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기장대 + 풀", 기장대풀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 미상이다. 하지만 재배한 기장과 유사한 풀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한다. ○ 분류 벼과(Poaceae) 기장대풀속(Isachne) 기장대풀 / 누운기장대풀 ○ 분포|자생지 동아시아, 호주 | 전국의 수로, 논 등의 물가에 무리지어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가늘고 길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 눕거나 곧추서며 길이 30-60cm, 지름 1-3mm, 마디에 털이 있다. 잎 잎집은 마디사이보다 짧고 윗부분에 .. 2014. 8. 1.
꼬리새 꼬리새 | 두메귀리새, 귀리이삭, 참새귀리 Kko-ri-sae Bromus pauciflorus (Thunb.) Hack. ○ 국명정보 꼬리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꼬리 + 새", 꼬리새라는 이름은 작은이삭(소수)이 가늘고 긴 것을 짐승의 꼬리에 비유한 데서 유래했다.새는 선형의 잎이 달린 벼과 식물의 총칭한 이름이다. ○ 분류 벼과(Poaceae) 참새귀리속(Bromus) 빕새귀리 / 참새귀리 / 꼬리새 / 민둥참새귀리 / 성긴이삭풀 / 털빕새귀리 / 민둥빕새귀리 / 까락빕새귀리 / 큰참새귀리 / 긴까락빕새귀리 / 털참새귀리 / 큰이삭풀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강원, 황해 이남의 평지에서 낮은 산에 걸쳐 반음지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총.. 2014. 7. 14.
비노리 비노리 | Multi-stem lovegrass Bi-no-ri Eragrostis multicaulis Steud. | Eragrostis pilosa subsp. multicaulis (Steud.) Tzvelev ○ 국명정보 비노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비노리" 라는 이름은 어느 지역 방언을 채록한 것으로 짐작되지만 그 정확한 유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일본명이나 중국명에 비추어 볼 때 비노리도 생태적 특성을 반영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비노리는 비와 노리의 합성어로 비는 마당을 쓰는 비를, 노리는 모방을하거나 흉내를 내면서 노는 일을 뜻하는 놀이의 옛말로 보인다. 즉, 꽃자루에 엉성하게 달린 꽃차례의 모양이 빗자루를 닮았고 접근이.. 2014. 6. 29.
갯잔디 갯잔디 | 개잔디 Gat-jan-di Zoysia sinica Hance ○ 국명정보 갯잔디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갯 + 잔디", 갯잔디라는 이름은 바닷가(갯)에 자라는 잔디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화본과(Poaceae) 잔디속(zoysia) 갯잔디 / 금잔디 / 왕잔디 / 잔디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중부 이남의 바닷가 모래땅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 옆으로 벋는다. 줄기 곧게 자라거나 비스듬히 서며 높이 10-30cm, 밑부분에는 마른 잎집이 남아 있다. 잎 잎혀는 매우 짧다. 잎몸은 길이 3-7cm, 폭 2-3mm, 편평하거나 가장자리가 안으로 구부러지며 털은 없다. 꽃 6월에 피는데 총상꽃차례는 선형이고 길이 3-5cm이다. 열매 작은이삭.. 2014. 6.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