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모새달 모새달 | 갈대쇠치기 Mo-sae-dal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 국명정보 -모새달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국명의 유래 '모새+달'; 모새는 '가는 모래'를 뜻하고 '달'을 '갈(대)', 한자로 겸(蒹)이다. 즉 가는 모래밭에 나는 갈대라는 뜻이다. 실제 바닷가 가는 모래밭 개펄에 난다. ○ 분류 화본과(Poaceae) 모새달속(Phacelurus) 모새달 / 가는모새달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중국 | 중부(황해) 이남의 주로 바닷가 습지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근경 굵으며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한다. 줄기 높이 80-120cm이고 곧게 서며 가지는 .. 2014. 6. 16.
큰참새피 큰참새피 | Keun-cham-sae-pi Paspalum dilatatum Poir. ○ 국명정보 큰참새피 :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IV) (박수현, 1993) ○ 국명의 유래 "큰 + 참새피", 큰참새피라는 이름은 전체적으로 참새피를 닮았는데 식물체가 보다 더 큰 형태적 특징에서 유래했다. 참새피라는 이름은 참새와 피의 합성어로, 피를 닮은 식물인데 꽃차례가 작고 앙증맞은 것이 참새를 연상시킨다는 뜻 또는 참새를 포함한 작은 새들에게 식량이 되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참새피속(Paspalum) 물참새피 / 참새피 / 큰참새피 / 털물참새피 ○ 분포|자생지 남아메리카 원산, 중국, 일본 분포(귀화) | .. 2014. 6. 14.
왕포아풀 왕포아풀 | 드렁꾸레미풀, 왕꿰미풀 Wang-po-a-pul Poa pratensis L. | Poa angustifolia var. pratensis (L.) Simonk. ※귀화식물 ○ 국명정보 왕포아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왕 + 포아풀", 왕포아풀이라는 이름은 식물체의 키가 큰(왕) 포아풀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포아풀속(Poa) 가는포아풀 / 갑산포아풀 / 관모포아풀 / 금강포아풀 / 눈포아풀 / 두메포아풀 / 새포아풀 / 선포아풀 / 섬포아풀 / 시베리아포아풀 / 실포아풀 / 왕포아풀 / 울릉포아풀 / 이삭포아풀 / 자주포아풀 / 좀꾸러미풀 / 좀새포아풀 / 좀포아풀 / 청포아풀 / 코마로브포아풀 / 큰꾸러미풀 / 큰새포아.. 2014. 6. 4.
흰줄갈풀 흰줄갈풀 | 흰갈풀, 뱀풀 Hin-jul-gal-pul Phalaris arundinacea L. var. picta L. ○ 국명정보 흰줄갈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흰줄 + 갈풀", 흰줄갈풀이라는 이름은 잎에 흰 줄무늬가 있는 갈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갈풀속(Phalaris) 갈풀 / 애기카나리새풀 / 카나리새풀 / 흰줄갈풀 ○ 분포|자생지 북반구 온대 | 전국의 정원, 공원에 식재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땅속줄기가 있고, 높이는 70-180cm이다. 잎 잎몸은 길이 10-20cm이고, 너비 5-15mm이다. 잎혀는 막질이고 5-10mm로 끝이 둔하다. 잎에 흰 줄무늬가 있다. 꽃 6월에 핀다. 전체 꽃차례는 줄기 끝에 짧.. 2014.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