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갯강아지풀 갯강지풀 | 좀강아지풀 Gat-gang-a-ji-pul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kino & Nemoto | Panicum pachystachys Franch. & Sav. ○ 국명정보 갯강아지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갯 + 강아지풀", 갯강아지풀이라는 이름은 바닷가(갯)에 나는 강아지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강아지풀이라는 이름은 꽃이삭을 손바닥 위에 올려 놓고 손을 오므렸다 펴는 운동을 반복하면 강아지처럼 앞으로 기어간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강아지풀속(Setaria) 가을강아지풀 / 금강아지풀 / 수강아지풀 / 유럽강아지풀 / 조 / 조아재비 / 강아지풀 / 갯강아.. 2014. 10. 15.
갯쇠보리 갯쇠보리 | 털쇠보리 Gaet-soe-bo-ri Ischaemum antephoroides (Steud.) Miq. | Rottboellia antephoroides Steud. ○ 국명정보 갯쇠보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갯 + 쇠보리" 갯쇠보리라는 이름은 바닷가(갯가)에서 자라는 쇠보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쇠보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산지를 나타내는 갯을 추가해 신칭했다. 쇠보리라는 이름은 보리와 유사하지만 보다 억세고 거칠다[쇠, 牛]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쇠보리속(Ischaemum) 쇠보리 / 갯쇠보리 / 서울갯쇠보리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 2014. 9. 21.
조아재비 조아재비 | 댕기머리새, 제주개피 Jo-a-jae-bi Setaria chondrachne (Steud.) Honda ○ 국명정보 조아재비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조 + 아재비", 조아재비라는 이름은 재배하는 조와 유사하지만 똑같지는 않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강아지풀속(Setaria) 가을강아지풀 / 수강아지풀 / 유럽강아지풀 / 조 / 조아재비 / 강아지풀 / 갯강아지풀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남부지방의 산기슭, 경작지 주변, 습기 있는 풀밭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게 자라며 높이 50-100cm이다. 잎 잎집의 가장자리에 센털이 있다. 잎혀는 길이 0.5mm, 짧은 털이 줄지어 있다. 잎몸은 선형, 길이.. 2014. 8. 26.
실새풀 실새풀 | 새풀, 메뛰기피, 자주메뛰기피 Sil-sae-pul Calamagrostis arundinacea (L.) Roth | Calamagrostis brachytricha Steud. ○ 국명정보 실새풀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메뛰기피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실새 + 풀" 실새풀이라는 이름은 에 따른 것으로 소수의 작고 부드러운 생김새가 짧은 실 모양인 새 종류의 풀이라는 뜻이다. 에서는 피를 닯았다는 뜻에서 메뛰기피를 신칭해 기록했으나, 피와 형태가 식생의 차이가 많기 때문에 개칭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새풀속(Calamagrostis) 갯조풀 / .. 2014.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