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쇠치기풀 쇠치기풀 | Siberian jointgrassSoe-chi-gi-pulHemarthria compressa (L. f.) R. Br. var. japonica (Hack.) Ohwi  | Hemarthria sibirica (Gand.) Ohwi ○ 국명정보 쇠치기풀 :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IV) (박수현, 1993) ○ 국명의 유래  "쇠치기 + 풀", 쇠치기풀이란 이름은 꽃차례가 단단하여 소의 채찍으로 쓸 수 있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중국명은 牛鞭草, 일본명은 'ウシノシッベイ'인데 뜻이 다 비슷하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쇠치기풀속(Hemarthria)  쇠치기풀 ○ 분포|자생지   중국, 몽골, 러시아(아무르.. 2015. 1. 8.
향기풀 향기풀 | 봄쇠미기풀, 버널그래스(Vernal Grass) Hyang-gi-pul Anthoxanthum odoratum L. 귀화식물 ○ 국명정보 향기풀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향기 + 풀", 향기풀이라는 이름은 식물체에 다소 퍼진 털이 있고 마르면 쿠마린향(香)이 나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향기풀속(Anthoxanthum) 포테향기풀 / 향기풀 / 까락향기풀(비합법명) ○ 분포|자생지 유럽과 시베리아 원산 | 목초용으로 들여화 귀화하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추서고 높이 20~80㎝이며 전체에 다소 퍼진 털이 있고 마르면 쿠마린향(香)이 있다. 잎 길이 3~10㎝, 너비 2~5㎜이며 보통 엽초에도 털이 있고 엽설은 길이 2~4㎜이다. 꽃.. 2015. 1. 7.
흰털새 흰털새 | 수수새, 우단풀 Hin-teol-sae Holcus lanatus L. 외래식물 ○ 국명정보 흰털새 : 이우철 (1996) ○ 국명의 유래 "흰 + 털새", 흰털새라는 이름은 식물체 전체에 흰 연모가 융단처럼 밀생하는 특징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흰털새속(Holcus) 흰털새 ○ 분포|자생지 유럽 원산 | 아프리카, 아시아, 호주, 북아메리카, 한국 귀화 | 전북(남원),서울, 제주도 등지에 야생화된 상태로 들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20-70cm, 식물체 전체에 백색의 짧은털이 밀생한다. 잎 잎새는 길이 4-20cm, 엽초는 절간보다 짧으며 엽설은 높이 1-4mm이다. 꽃 6-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3-20cm, 폭 1-8cm로 녹백색 때로는 적.. 2014. 12. 13.
달뿌리풀 달뿌리풀 | 덩굴달, 달 Dal-bbu-ri-pul Phragmites japonica Steud. ○ 국명 정보 -달뿌리풀 ; 정태현 외2 (1949) -달 ; 2014.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