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향모 향모 | 참기름새, 향기름새, 털향모 Hyang-mo Hierochloe odorata (L.) P.Beauv. ○ 국명정보 향모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향모" 라는 이름은 한자어 香茅(향모)에서 유래한 것으로, 뿌리에서 향기가 나는 띠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Gramineae) 향모속(Hierochloe) 향모 / 산향모 / 애기향모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캄차카), 몽골, 일본, 한국 | 전국의 습기 있는 풀밭, 길가, 모래땅에 자란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 옆으로 벋는다. 줄기 곧게 자라고 높이 20-60cm, 털이 없고 3-4개의 마디가 있으며 윗부분은 밋밋하다. 잎 잎집에 짧은 털이 있다. 잎혀는 길이 2-4m.. 2015. 5. 17.
포아풀 포아풀 | 숲꾸렘이풀, 쇠꾸렘이풀, 선꾸렘이풀, 꿰미풀, 키다리포아풀 Po-a-pul Poa sphondylodes Trinius ○ 국명정보 포아풀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포아 + 풀", 포아풀이라는 이름은 속명인 'Poa'와 '풀'의 합성어로 고대 그리스어인 'Poa'에서 유래한 것으로, 풀이나 초목을 뜻한다. ○ 분류 벼과과(Poaceae) 포아풀속(Poa) 가는잎포아풀 / 갑산포아풀 / 관모포아풀 / 구내풀 / 금강포아풀 / 눈포아풀 / 두메포아풀 / 새포아풀 / 선포아풀 / 섬포아풀 / 시베리아포아풀 / 실포아풀 / 마디포아풀 / 왕포아풀 / 울릉포아풀 / 이삭포아풀 / 자주포아풀 / 좀꾸러미풀 / 좀포아풀 / 청포아풀 / 코마로브포아풀 / 큰꾸러미풀 / 큰새포아.. 2015. 5. 14.
김의털아재비 김의털아재비 |쇠묵새 Kim-ui-teol-a-je-bi Festuca parvigluma Steud. ○ 국명정보 김의털아재비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김의털 + 아재비", 김의털아재비라는 이름은 형태적으로 김의털과 유사한 종류하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김의털속(Festuca) 산묵새 / 김의털아재비 / 왕김의털아재비 / 김의털 /참김의털 /왕김의털 / 사방김의털 / 넓은잎김의털 / 큰김의털 / 개묵새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타이완, 한국 | 거의 전도의 숲 속이나 풀밭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근경 가늘고 갈라져서 새싹을 만든다. 줄기 대는 가늘고 길며 뭉쳐나고 밑부분에 갈색 막질의 잎이 있으며 높이는 30∼60cm이다. 잎 어긋나며 길이 10∼.. 2015. 5. 14.
좀포아풀 좀포아풀 | 카나다꿰미풀 Jom-po-a-pul Poa compressa L. 귀화식물 ○ 국명정보 좀포아풀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좀 + 포아풀", 좀포아풀이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상대적으로 키가 작은 포아풀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과(Poaceae) 포아풀속(Poa) 가는잎포아풀 / 갑산포아풀 / 관모포아풀 / 구내풀 / 금강포아풀 / 눈포아풀 / 두메포아풀 / 새포아풀 / 선포아풀 / 섬포아풀 / 시베리아포아풀 / 실포아풀 / 마디포아풀 / 왕포아풀 / 울릉포아풀 / 이삭포아풀 / 자주포아풀 / 좀꾸러미풀 / 좀포아풀 / 청포아풀 / 코마로브포아풀 / 큰꾸러미풀 / 큰새포아풀 / 포아풀 ○ 분포|자생지 유럽과 시베리아 원산 | 중부 지방의 들에 난다. ○ 형태 여러해.. 2015.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