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식물/벼과314 사방김의털 사방김의털 | 이형김의털 Sa-bang-gim-ui-teol Festuca heterophylla Lam. 귀화식물 ○ 국명정보 사방김의털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 "사방 + 김의털", 사방김의털이라는 이름은 산사태를 방지하기(사방) 위해 식재하는 김의털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김의털속(Festuca) 개묵새 / 김의털 / 김의털아재비 / 넓은김의털 / 들묵새 / 사방김의털 / 산묵새 / 왕김의털 / 왕김의털아재비 / 큰김의털 / 큰묵새 / 두메김의털 / 서울김의털 / 수염김의털 / 지리산김의털 / 참김의털 ○ 분포|자생지 유럽 원산 | 강원도, 충북 등의 건조한 지역, 산지 도로가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30-80cm 정도로 자란다. 잎.. 2015. 6. 6. 실포아풀 실포아풀 | 꾸레미풀, 실꿰미풀 Sil-po-a-pul Poa acroleuca Steud. ○ 국명정보 실포아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실 + 포아풀", 이라는 이름은 화서가 실처럼 가는 포아풀이라는 데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과(Poaceae) 포아풀속(Poa) 가는잎포아풀 / 갑산포아풀 / 관모포아풀 / 구내풀 / 금강포아풀 / 눈포아풀 / 두메포아풀 / 새포아풀 / 선포아풀 / 섬포아풀 / 시베리아포아풀 / 실포아풀 / 마디포아풀 / 왕포아풀 / 울릉포아풀 / 이삭포아풀 / 자주포아풀 / 좀꾸러미풀 / 좀포아풀 / 청포아풀 / 코마로브포아풀 / 큰꾸러미풀 / 큰새포아풀 / 포아풀 ○ 분포|자생지 .. 2015. 6. 6. 들묵새 들묵새 | 구주김의털, 꼬리새(북한명) Deul-muk-sae Festuca myuros L. | Vulpia myuros (L.) C.C.Gmelin 외래귀화식물 ○ 국명정보 들묵새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들 + 묵새", 들묵새라는 이름은 들에서 자라는 개묵새 또는 산묵새라는 뜻에서 유래햇다. ○ 분류 벼과(Poaceae) 김의털속(Festuca) 개묵새 / 산묵새 / 김의털 / 수염김의털 / 지리산김의털 / 두메김의털 / 참김의털 / 서울김의털 / 왕김의털 / 왕김의털아재비 / 큰김의털(귀화) / 큰묵새(귀화) / 들묵새(귀화) ○ 분포|자생지 유럽 남부 원산 | 한국 전쟁 후 귀화, 중남부 지방과 제주도 등의 바닷가, 냇가 등에 난다. ○ 형태 한두해살이풀 줄기 총생하여 대군락을.. 2015. 6. 3. 나도겨이삭 나도겨이삭 | 빕새율무, 빕새율미, 조풀 Na-do-gyeo-i-sak Milium effusum L. ○ 국명정보 나도겨이삭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나도 + 겨이삭", 나도겨이삭이라는 이름은 겨이삭과 비슷하나 겨이삭과는 화서가 다른 특징에서 붙여졌다. ○ 분류 벼과(Poaceae) 나도겨이삭속(Milium) 나도겨이삭 ○ 분포|자생지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 | 거의 전국 산의 풀밭이나 숲속에서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뭉쳐나고 곧게 서며 높이가 60∼120cm이고 털이 없으며 연하다. 잎 어긋나고 넓은 줄 모양이며 길이가 15∼30cm, 폭이 10∼15mm로 얇다. 잎혀는 흰색의 막질이며 길이가 5∼10mm이다. 꽃 5∼6월에 피는데, 길이 15∼2.. 2015. 6. 3. 이전 1 ··· 58 59 60 61 62 63 64 ··· 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