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주름조개풀 주름조개풀 | 명내풀, 털주름풀, 민주름조개풀(북한명) Ju-reum-jo-gae-pul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P.Beauv. ○ 국명정보 털주름조개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주름조개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주름 + 조개풀" 이라는 이름은 에서 조개풀을 기본으로 하고 잎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주름을 추가해 신칭한 것으로, 잎에 주름이 있어 물결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조개풀을 닮았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조선식물향명집은 Oplismenus brumanni 에 대해 주름조개풀이라는 이름을, Oplismenus undulatifolius 에 대해 털주름조개풀이라는 이름을 부여했으나 조선식물명집에서 Oplism.. 2015. 8. 29.
참새피 참새피 | 털피, 납작털피/납작피, 납작털새 Cham-sae-pi Paspalum thunbergii Kunth ex Steud. ○ 국명정보 참새피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참새 + 피", 참새피라는 이름은 참새와 피의 합성어로, 피를 닮은 식물인데 꽃차례가 작고 앙증맞은 것이 참새를 연상시킨다는 뜻 또는 참새를 포함한 작은 새들에게 식량이 되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참새피속(Paspalum) 물참새피 / 참새피 / 큰참새피 / 털물참새피 ○ 분포|자생지 난온대~아열대, 한국, 일본(혼슈 이남), 대만, 중국(중남부, 동부), 부탄, 인도, 코카사스 등 | 전국.. 2015. 8. 29.
물피 물피 | 털돌피, 털피, 나도논피, 노피 Mul-pi Echinochloa crus-galli (L.) Beauv. var. echinata Honda ○ 국명정보 물피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물 + 피" 물피라는 이름은 물이 있는 곳에서 자라는 피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피라는 이름이 한자명 피[稗, 중국 발음 bai (피 패)]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중국에서는 유물도 출토되지 않고, 문헌 기록도 없다. 그러나 한국, 일본에서는 피 재배가 오래되어 중국으로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아이누어로 피가 'piyapa'인 점에 비추어 오래 전부터 사용하던 말에서 우리말 피가 유.. 2015. 8. 1.
우산잔디(1) 우산잔디(1) | 우산대바랭이, 우산대잔디 U-san-jan-di Cynodon dactylon (L.) Pers. | Panicum dactylon L. ○ 국명정보 우산잔디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우산 + 잔디", 우산잔디라는 이름은 화서의 모양이 마치 우산대를 연상케 한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우산잔디속(Cynodon) 우산잔디 ○ 분포|자생지 전 세계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 | 중부 이남의 경작지 주변, 해안가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땅 위로 뻗으며 가지가 갈라지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 선형, 길이 4-8cm, 폭 2-3mm, 잎혀는 털로 되어 있으며, 길이 1.0-1.5mm다. 꽃 6-8월에 3-6개의 가지(총, 總)가 길이 .. 2015.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