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개기장 개기장 | 돌기장 Gae-gi-jang Panicum bisulcatum Thunb. ○ 국명정보 개기장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개 + 기장", 개기장이라는 이름은 기장과 유사하지만 그 품질이 기장만 못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기장속(Panicum) 개기장 / 기장 / 미국개기장 / 큰개기장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인도, 인도차이나 등 | 한반도 전역의 숲 가장자리나 들에서 자란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높이 30∼120cm, 원기둥형 가는줄기가 곧게 자라고 가지를 많이 친다. 마디에서 뿌리가 나고 털이 없다. 잎 어긋나고 좁은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다. 길이 5∼30cm, 나비 5∼12mm이다. 잎집 가장자리에 털이 나.. 2015. 11. 11.
미국개기장 미국개기장 | Fall panicum , 洋野黍, 벌기장(북한명) Mi-guk-gae-gi-jang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귀화식물 ○ 국명정보 미국개기장 : 이창복 : (1969) ○ 국명의 유래 "미국 + 개기장", 미국개기장이라는 이름은 원산지가 미국인 개기장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개기장이라는 이름은 기장과 유사하지만 그 품질이 기장만 못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기장속(Panicum) 개기장 / 기장 / 미국개기장 / 큰개기장 ○ 분포|자생지 북아메리카 원산 | 한반도 전역에 들에 귀화하여 농촌 들녘 길가, 빈터, 습지 언저리, 논과 밭 주변, 하천변 등, 양지, 약습(弱濕)~적습(適濕) 등에 자란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굵은 줄.. 2015. 11. 11.
갯그령 갯그령 | 갯크령, 왕갯보리, 조선갯보리 Gaet-geu-ryeong Elymus mollis Trinius ○ 국명정보 갯그령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갯 + 그령", 갯그령이라는 이름은 바닷가(갯)에 자라는 그령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그령이라는 이름은 역어유해에 여우 꼬리를 잡는 풀이라는 뜻의 狗尾把草(구미파초)라는 이름이 있는 것으로 보아 풀을 묶거나 동여매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갯보리속(Elymus) 고려개보리 / 산갯보리 / 갯보리 / 갯그령 / 개보리 ○ 분포|자생지 중국, 한국, 일본, 러시아, 북미 | 경북, 경기 이북의 바닷가 모래밭에 자란다... 2015. 11. 8.
낚시귀리 낚시귀리 | 그늘납작귀리, 라티폴리움카스만티움, 영명 woodoats, inland sea oats, northern sea oats, and river oats, North america wild oats, Spangle grass, Seaoats Nak-si-sa-cho Chasmanthium latifolium (Michx.) H.O.Yates | 다른학명 외래식물 ※처음 Bromus briziformis Bromus Briziformis Fisch. et Mey(낚시귀리)으로 잘못 동정하여 바로잡음 ○ 국명정보 낚시귀리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 "낚시 + 귀리", 낚시귀리라는 이름은 화서가 낚싯대처럼 드리워져 있고 열매가 귀리를 닮았다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벼.. 2015. 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