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식물/벼과314 큰듬성이삭새 큰듬성이삭새 Keun-deum-seong-i-sak-sae Microstegium vimineum var. imberbe (Nees ex Steud.) Honda ○ 국명정보 큰듬성이삭새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큰 + 듬성이삭새", 큰듬성이삭새라는 이름은 이삭이 많이 달리는(큰) 까락이 없는 나도바랭이새(듬성이삭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나도바랭이속(Microstegium) 민바랭이새 / 나도바랭이새 / 큰듬성이삭새 ○ 분포|자생지 난온대~냉온대, 일본(홋카이도, 혼슈), 한국 등) | 전국의 숲정이 가장자리, 낮은 산지와 구릉지의 길가, 임도가장자리 등, 반음지~양지, 적습(適濕)~약습(弱濕)에 자란다. ○ 형태 한해살이풀 5월에 싹이 튼다. 줄기 부드.. 2015. 10. 23. 좀돌피 좀돌피 | 들피 Jom-dol-pi Echinochloa crusgalli (L.) P. Beauv. var. praticola Ohwi | Echinochloa crusgalli var. praticola Ohwi ○ 국명정보 좀돌피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 "좀 + 돌피", 좀돌피라는 이름은 식물제가 상대적으로 보다 작은 돌피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좀돌피는 돌피나 물피에 비해 소수에 까락이 없는 특징이 있다. ○ 분류 벼과(Poaceae) 피속(Echinochloa) 돌피 / 좀돌피 / 대만피 / 논피 / 피 / 물필 ○ 분포|자생지 일본, 대만, 한국 | 전국의 빈터, 도랑 근처에 자란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높이 30-100cm 정도로 자란다. 잎 길이 10-30cm이고, .. 2015. 10. 23. 나도개피 나도개피 | 개피, 새피, 가는잎개피 Na-do-gae-pi Eriochloa villosa (Thunb.) Kunth ○ 국명정보 나도개피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나도 + 개피", 나도개피라는 이름은 형태상 개피와 똑같지는 않지만 유사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나도개피는 개피와는 달리 몇 개의 화총이 줄기의 상부에서 한 방향으로 달리는 특징이 있다. ○ 분류 벼과(Poaceae) 나도개피속(Eriochloa) 나도개피 ○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중국 등 동아시아 | 전국의 풀밭에서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게 서고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밑동에서 가지를 치고 높이가 50∼100cm이다. 잎 어긋나고 긴 바소꼴로 끝이 점차 뾰족해지며 길이가 10∼1.. 2015. 10. 22. 모새달(1) 모새달(1) | 갈대쇠치기 Mo-sae-dal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 학명의 뜻 Phacelurus 는 그리스어 phakelos(꾸러미, 묶음/ bundle)와 oura(꼬리, tail)에서 유래된 말로 꼬리의 묶음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벼과 모새달속 식물을 지칭한다. 종소명 latifolius는 '넓은 잎의'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국명정보 -모새달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국명의 유래 '모새+달'; 모새는 '가는 모래'를 뜻하고 '달'을 '갈(대)', 한자로 겸(蒹)이다. 즉 가는 모래밭에 나는 갈대라는 뜻이다. 실제 바닷가 가는 모래밭 개펄에 난다. ○ 분.. 2015. 10. 4. 이전 1 ··· 53 54 55 56 57 58 59 ··· 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