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산겨이삭 산겨이삭 | 멧겨이삭, 메겨이삭 San-gyeo-i-sak Agrostis clavata Trin. ○ 국명정보 산겨이삭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산 + 겨이삭" 산겨이삭이라는 이름은 산에서 자라는 겨이삭 종류라는 뜻이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 겨이삭을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산지를 나타내는 산을 추가하여 신칭한 것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Gramineae) 겨이삭속(Agrostis ) 흰겨이삿/ 검은겨이삭/ 민메기이삭 / 산겨이삭 / 겨이삭 / 엉성겨이삭/ 검정겨이삭 / 긴겨이삭/ 애기겨이삭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러시아(시베리아, 캄차카), 유럽, 일본, 한국 | 거의 전도의 산야에 난다. ○ 형.. 2015. 6. 10.
넓은김의털 넓은김의털 | 넓은잎김의털(북한명), Meadow fescue Neolbeun-ip-gim-ui-teol Festuca pratensis Huds. | 이명 F. elatior L. 외래, 귀화식물 ○ 국명정보 넓은김의털 : 우리 나라 신귀화식물 (임형탁, 홍행화, 홍성각, 1998) ○ 국명의 유래 "넓은 + 김의털", 넓은김의털이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크고 잎이 보다 넓은 김의털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김의털속(Festuca) 개묵새 / 김의털 / 김의털아재비 / 넓은김의털 / 들묵새 / 사방김의털 / 산묵새 / 왕김의털 / 왕김의털아재비 / 큰김의털 / 큰묵새 / 두메김의털 / 서울김의털 / 수염김의털 / 지리산김의털 / 참김의털 ○ 분포|자생지 한국, 중국(재배);.. 2015. 6. 10.
왕쌀새 왕쌀새 | 흰껍질새, 청쌀새, Wang-ssal-sae Melica nutans L. ○ 국명정보 왕쌀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왕 + 쌀새", 왕쌀새라는 이름은 이 식물의 영과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쌀새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쌀새속(Melica) 왕쌀새 / 쌀새 / 찹쌀새 / 큰껍질새 ○ 분포|자생지 구아대륙 | 제주를 제외한 거의 전도의 숲 속 풀밭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근경 가늘고 인편으로 덮여 있으며 줄기 곧추서고 둔한 능선이 있다. 잎 선형으로 길이 5~15㎝, 너비 2~5㎜이며 거칠고 엽초는 통형으로 네모지며 종종 적자색을 띠고 엽설은 막질로 길이 1㎜ 이하이다. 꽃 6~7월에 피며 원추화서로 나오나 좁고 길게 퇴.. 2015. 6. 8.
큰참새귀리 큰참새귀리 Keun-cham-sae-gwi-ri Bromus secalinus L. 외래식물 ○ 국명정보 큰참새귀리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큰 + 참새귀리", 큰참새귀리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상대적으로 보다 큰 참새귀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참새귀리속(Bromus) 빕새귀리 / 참새귀리 / 개빕새귀리 / 꼬리새 / 민둥참새귀리 / 성긴이삭풀 / 털빕새귀리 / 민둥빕새귀리 / 까락빕새귀리 / 큰참새귀리 / 긴까락빕새귀리 / 털참새귀리 / 좀참새새귀리 / 큰이삭풀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귀화); 북아메리카(귀화), 아프리카, 유럽 | 중부 지방의 들에 자란다. ○ 형태 생육형 한해살이풀 줄기 높이 80cm에 이른다. 잎 잎집은 둥글며 보통.. 201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