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털빕새귀리 털빕새귀리 | 말귀리 Teol-bip-sae-gwi-ri Bromus tectorum L. 귀화식물 ○ 국명정보 털빕새귀리 : 이창복 (1969) ○ 국명의 유래 "털 + 빕새귀리", 털빕새귀리라는 이름은 소수와 엽신에 털이 많은 빕새귀리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참새귀리속(Bromus) 빕새귀리 / 참새귀리 / 개빕새귀리 / 꼬리새 / 민둥참새귀리 / 성긴이삭풀 / 털빕새귀리 / 민둥빕새귀리 / 까락빕새귀리 / 큰참새귀리 / 긴까락빕새귀리 / 털참새귀리 / 좀참새새귀리 / 큰이삭풀 ○ 분포|자생지 유럽 원산 | 서울을 비롯한 중남부 각 지역의 도시 근교에서 자란다. ○ 형태 한~두해살이풀 줄기 높이 30-60cm이고 식물체 전체에 연모가 밀포한다. 잎 엽초는 원통형으로 .. 2015. 6. 7.
갈풀(1) 갈풀(1) | 달, 흰갈풀, 흰줄갈풀 Gal-pul Phalaris arundinacea L. ○ 국명정보 갈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갈 + 풀", 갈풀이라는 이름은 모를 낼 논에 거름을 주기 위하여 베어 놓은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이우철 갈풀의 '갈'은 동사 '갈다'에서 온 것으로 본다. ○ 분류 벼과(Poaceae) 갈풀속(Phalaris) 갈풀 / 애기카나리새풀 / 카나리새풀 / 흰줄갈풀 ○ 분포|자생지 북반구 온대 | 전국의 들판, 물가, 저수지의 가장자리를 비롯하여 냇가나 도랑 근처의 습한 풀밭에 흔히 무리를 짓는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보통 1개가 나와 곧게 자라며 높이 50-120cm이다. 잎 잎집에는 털이 없다. 잎혀는 막질이고 길이 2-3.. 2015. 6. 7.
큰김의털 큰김의털 | Keun-gim-ui-teol Festuca arundinacea Schreb. | Festuca elatior L. 외래식물 ○ 국명정보 큰김의털 : 정태현 (1970) ○ 국명의 유래 "큰 + 김의털", 큰김의털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김의털보다는 크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김의털속(Festuca) 개묵새 / 김의털 / 김의털아재비 / 넓은김의털 / 들묵새 / 사방김의털 / 산묵새 / 왕김의털 / 왕김의털아재비 / 큰김의털 / 큰묵새 / 두메김의털 / 서울김의털 / 수염김의털 / 지리산김의털 / 참김의털 ○ 분포|자생지 유럽 원산 | 사방용으로 들여와 야생화한 것이 서울 한강 둔치를 비롯하여 전국 각지에 널리 분포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뭉쳐나며, 높이 .. 2015. 6. 7.
구주개밀 구주개밀 Gu-ju-gae-mil Agropyron repens (L.) P.Beauv. | Elymus repens (L.) Gould ○ 국명정보 구주개밀 :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보유편 (정태현, 1970) ○ 국명의 유래 "구주 + 개밀", 원산지가 구주(歐洲), 곧 유럽에서 들여온 것으로 개밀과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한다. ○ 분류 벼과(Poaceae) 개밀속(Agropyron) 금강개밀 / 개밀아재비 / 속털개밀 / 가는개밀 / 개밀 / 털개밀 / 자주개밀 / 광릉개밀 / 까락구주개밀 / 구주개밀 ○ 분포|자생지 유럽 원산 | 목초로 재배하던 것이 일출하여 서울 근교와 중부 지방에서 많이 자란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근경 길게 뻗는다. 줄기 높이 40-90cm이다. .. 201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