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메귀리 메귀리 | 귀보리 Me-gwi-ri Avena fatua L. 귀화식물 ○ 국명정보 메귀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메 + 귀리", 메귀리라는 이름은 재배식물이었던 귀리와 달리 산과 들에서 자라기에 붙여진 것으로, 귀리의 야생형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식물명의 머리에 붙는 메/뫼는 일반적으로 산에서 나고 자라는 것을 뜻한다. 귀리라는 이름은 줄기를 감싼 잎이 귀처럼 갈라져 있고 보리를 닮은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귀리속(Avena) 메귀리 / 귀리 ○ 분포|자생지 유럽과 서아시아 원산, 세계에 널리 귀화 | 전국 각지의 밭이나 길가, 풀밭이나 강 주변에서 흔하게.. 2015. 5. 25.
쇠돌피 쇠돌피 | 피아재비, 울릉쇠돌피 Soe-dol-pi Polypogon fugax Nees ex Steud. ○ 국명정보 쇠돌피 :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IV) (박수현, 1993) ○ 국명의 유래 "쇠 + 돌피", 쇠돌피라는 이름은 쇠와 돌피의 합성어로, 돌피를 닮았다는(쇠)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쇠돌피속(Polypogon) 쇠돌피 / 갯쇠돌피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대만, 한국, 인도, 시베리아, 아프리카 | 제주, 경남, 경북(울릉도), 전남 등의 들판 습지에 난다. ○ 형태 한두해살이풀 줄기 높이 20~60㎝이고 기부는 마디에서 굽는다. 잎 선형으로 길이 5~15㎝, 너비 3~8㎜이며 양.. 2015. 5. 25.
구내풀 구내풀 | 꾸렘이풀, 히사우치포아풀, 히사우지풀, 도랑꿰미풀 Gu-nae-pul Poa hisauchii Honda ○ 국명정보 구내풀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구내 + 풀", 구내풀이라는 이름은 구내(溝內) 즉 도랑 안에서 나는 포아풀이라는 뜻이나, 종소명 히사우찌가 한자로 久內이므로 이 발음과 유사하여 구내(溝內)를 차용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분류 벼과과(Poaceae) 포아풀속(Poa) 가는잎포아풀 / 갑산포아풀 / 관모포아풀 / 구내풀 / 금강포아풀 / 눈포아풀 / 두메포아풀 / 새포아풀 / 선포아풀 / 섬포아풀 / 시베리아포아풀 / 실포아풀 / 마디포아풀 / 왕포아풀 / 울릉포아풀 / 이삭포아풀 / 자주포아풀 / 좀꾸러미풀 / 좀포아풀 / 청포아풀 / 코마로브포아풀 / 큰꾸러.. 2015. 5. 17.
잠자리피 잠자리피 | 섬잠자리피, 제주잠자리피, 누런잠자리피 Jam-ja-ri-pi Trisetum bifidum (Thunb.) Ohwi ○ 국명정보 잠자리피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잠자리 + 피", 잠자리피라는 이름은 꽃차례의 모양이 잠자리를 연상시키는 것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잠자리피속(Trisetum) 교래잠자리피 / 갯잠자리피 / 산잠자리피 / 잠자리피 / 시베리아잠자리피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타이완, 한국 | 거의 전도의 풀밭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모여나고 밑부분의 마디가 굽으나 곧추서며 높이 40~80㎝이고 기부에 다음 해의 새싹이 난다. 잎 선형.. 2015. 5.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