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민바랭이 민바랭이 | 민바랑이 Min-ba-raeng-i Digitaria violascens Link ○ 국명정보 민바랭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민 + 바랭이" 민바랭이라는 이름은 잎집에 털이 없는(민) 바랭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바랭이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민을 추가하여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바랭이라는 이름은 줄기의 밑부분이 지상을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나와 자라는 모습이 마치 바라와 같다는 것에서 유래했다. 바랭이의 옛이름은 바랑이, 바라기이다. 이 두 명칭은 모두 어근을 '바라'로 하고 있다. 바라는 處라는 기록이 있다. 바라는 바(所)와 라(땅이 넓게 퍼진 상태를 뜻하는 말)의.. 2015. 10. 2.
조 | 큰조, 서숙/수숙, 영명 Barn grass, Chinese corn Jo Setaria italica (L.) P.Beauv. 재배식물 ○ 국명정보 조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조" 라는 이름은 중세국어에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표현이 나타나는 오래된 고유어이다. 그 어원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만주어에 조와 유사한 'je(져)'라는 표현이 있는 것에 비추어 이동을 통해 한민족과 한국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언어이고, 작다는 뜻의 조(조그맣다, 조금, 조각, 조랑말 등)와 관련이 있는 옛말 '좋'가 같은 어원을 공유한 것으로 보인다. 좁쌀에 작은 쌀의 뜻이 있는 점에 비추어볼 때 작다는 뜻과 관련이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 2015. 9. 2.
수수 수수 | 쑤시, 高粱, 蜀黍 Su-su Sorghum bicolor (L.) Moench | Holcus bicolor L. ○ 국명정보 수수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중국 고량주 담그는 원료인 고량, 촉서가 있다. 수수라는 이름은 이 중 촉서의 중세 국어 발음인 '슈슈'에서 유래했다. 촉서는 중국 서부 촉 지역에 자라는 기장이라는 뜻이다. 수수의 방언에는 수수, 수시, 대끼지/대축 3계열이 있다. 이로 보아 수수와는 다른 고유어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수수새속(Sorghum) 수수새 / 시리아수수새 / 무망시리아수수새 / 수수 / 단수수 / 비수수 ○ 분포|자생지 .. 2015. 9. 2.
돌피 돌피 | 돌미, 들피, 밭피 Dol-pi Echinochloa crus-galli (L.) P.Beauv. ○ 국명정보 돌피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돌 + 피" 돌피라는 이름은 우리 옛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피와 유사하지만 야생(돌)에서 자라거나 피보다 못하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피속(Echinochloa) 돌피 / 좀돌피 / 대만피 / 논피 / 피 / 물피 ○ 분포|자생지 난온대 및 열대 | 황해도 이남의 각지 들에서 자란다. ○ 형태 한해살이풀 뿌리 수염뿌리를 많이 낸다. 줄기 대는 편평하고 흔히 뭉쳐나며 곧게 선다. 높이는 30∼90cm이다. 잎 선형으로 편평하.. 2015. 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