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큰뚝새풀 큰뚝새풀 | 영명 meadow foxtail Keun-ttuk-sae-pul Alopecurus pratensis L. 귀화식물 ○ 국명정보 큰뚝새풀 :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 국명의 유래 "큰 + 뚝새풀", 큰뚝새풀이라는 이름은 뚝새풀에 비해 식물체가 보다 크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꽃이삭의 모양이 여우 꼬리와 비슷하기 때문에 meadow foxtail라는 영어 이름은 여우꼬리라는 뜻이다. ○ 분류 벼과(Poaceae) 뚝새풀속(Alopecurus) 뚝새풀 / 쥐꼬리뚝새풀 / 큰뚝새풀 / 털뚝새풀 ○ 분포|자생지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원산 | 목초로 재배하던 것이 일출하여 야생 상태로 길가, 들, 제방 등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뿌리줄기는 짧고, 줄기는 높이가 1.. 2015. 12. 25.
왕대 왕대 | 강죽, 참대, 苦竹 Wang-dae 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old & Zucc. ※죽순대에 비해서 죽순이 쓰다고 하여 일명 苦竹이라고도 한다. ○ 국명정보 왕대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국명의 유래 "왕+대"의 합성어이다. 왕대라는 이름은 왕과 대의 합성어로, 크게 자라는 대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왕대, 죽순대(맹종죽), 솜대, 오죽 등을 총칭하여 대나무라고 한다. 중국 남부에서는 대를 한자로는 죽(竹)이라고 했는데 옛날 중국 남부에서 죽(竹)을 '덱[tek]'이라고 읽었다고 한다. 이를 차용하여 우리나라에서는 덱의 끝소리 'ㄱ'이 약하되어 '대'로 발음하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조선식물ㅎ향명집에서는 참대로 기록하였으나 조선산림도설에서 왕대로.. 2015. 11. 18.
도랭이피 도랭이피 | 도랑이피 Do-raeng-i-pi Koeleria cristata (L.) Pers. ○ 국명정보 도랭이피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도랭이 + 피" 도랭이피라는 이름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띠나 짚 따위로 엮어 허리나 어깨에 걸쳐 두른 비옷을 도랭이(도롱이)라고 하므로, 도랭이피는 꽃차례를 비롯한 식물체 전체의 모양이 도롱이와 유사한 데서 유래한 이름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도랭이피속(Koeleria) 도랭이피 / 글라우카도랑이피(재배)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 티베트, 시베리아, 코카서스, 중앙아시아, 유럽, 북미, .. 2015. 11. 17.
기장 기장 | 영명 Broomcorn, Millet, Hog Millet, Proso Gi-jang Panicum miliaceum L. ○ 국명정보 기장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기장이라는 이름은 13세기경부터 그 기록이 확인되는데 길과 조(粟)의 합성어로 당황색의 열매가 달리는 조와 비슷한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길은 발음이 비슷한 귤 등과 유사하 것으로 노란색 열매임이 확인된다고 한다.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기장속(Panicum) 개기장 / 기장 / 미국개기장 / 큰개기장 ○ 분포|자생지 인도 원산, 전 세계 재배 | 한반도 전역의 밭에서 재배한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2015.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