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듬성이삭새(1)
큰듬성이삭새 | 큰나도바랭이새, 북한명 : 나도바랭이, 새층층이, 나도바랭이새 Keun-deum-seong-i-sak-sae Microstegium vimineum var. imberbe (Nees ex Steud.) Honda ○ 국명정보 큰듬성이삭새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큰 + 듬성이삭새", 큰듬성이삭새라는 이름은 이삭이 많이 달리는(큰) 까락이 없는 나도바랭이새(듬성이삭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나도바랭이속(Microstegium) 민바랭이새 / 나도바랭이새 / 큰듬성이삭새 ○ 분포|자생지 난온대~냉온대, 일본(홋카이도, 혼슈), 한국 등) | 전국의 숲정이 가장자리, 낮은 산지와 구릉지의 길가, 임도가장자리 등, 반음지~양지, 적습(適濕)~약습(..
2016. 9. 29.
왕미꾸리광이
왕미꾸리광이 |왕미꾸리꽝이, 넓은잎진들피, 왕진들피, 왕미꾸리꽝기 Wang-mi-kku-ri-gwang-i Glyceria leptolepis Ohwi ○ 국명정보 왕미꾸리광이 : 정태현 (1956) 왕미꾸리꽝기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왕 + 미꾸리광이", 왕미꾸리광이라는 이름은 상대적으로 잎이 보다 넓은 미꾸리광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속(Glyceria) 긴진들피, 두메미꾸리광이, 검정진들피, 총전광이, 왕미꾸리광이, 진들피. 육절보리, 유럽육절보리(귀화)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 극동부, 한국 | 전국 산지의 저지대 냇가, 물가, 습지 등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옆으로 뻗는다. 줄기 한 개씩 단생하는데..
2016.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