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나도겨풀 나도겨풀 | 겨풀, 물겨풀, 거신털피 Na-d0-gyeo-pul Leersia japonica (Honda) Honda | Leersia japonica (Makino & Honda) Honda ○ 국명정보 나도겨풀 : 정태현 (1956) ○ 국명의 유래 "나도 + 겨풀", 나도겨풀이라는 이름은 겨풀과 유사하다나 다른(나도) 겨풀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겨풀속(Leersia) 겨풀 / 좀겨풀 / 나도겨풀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전국의 연못과 저수지, 강가의 얕은 물에 군생한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게 자라거나 옆으로 벋으며 가지를 치고 마디에서 수염뿌리가 내린다. 잎 피침형, 길이 5-15cm, 폭 3-7mm이다. 잎집은 보통 마디 사이보.. 2017. 7. 24.
갯꾸러미풀 갯꾸러미풀 | 갯꾸렘이풀, 개미꾸리꿰미풀 Gaet-kku-reo-mi-pul Puccinellia nipponica Ohwi ○ 국명정보 갯꾸러미풀 : 이창복 (1969) ○ 국명의 유래 "갯 + 꾸러미풀", 갯꾸러미풀이라는 이름은 갯가에 나는 꾸러미풀(실포아풀) 유사한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각시꾸러미광이속(Puccinellia) 갯꾸러미풀, 처진미꾸리광이, 갯겨이삭 ○ 분포|자생지 한국, 중국 만, 일본 | 전남, 경기, 황해, 함남(원산) 바닷가의 습지에 난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총생하고 높이 30~100㎝이다. 잎 어긋나고 선형으로 길이 6~20㎝, 너비 2~3㎜이며 편평하거나 다소 가장자리가 말리고 분록색을 띠며 잎집은 길이 2~3㎜로 백막질이다.. 2017. 7. 16.
조릿대풀 조릿대풀 | 조리대풀, 그늘새, 애기그늘새, 담죽엽(淡竹葉) Jo-rit-dae-pul Lophatherum gracile Brongn. ○ 국명정보 조릿대풀 : 이창복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국명의 유래 "조릿대 + 풀", 조릿대풀이라는 이름은 조리를 만드는 조릿대를 닮은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조릿대풀속(Lophatherum) 조릿대풀, 털조릿대풀(Lophatherum sinense Rendle ) ○ 분포|자생지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인도 | 남부지방의 숲 속에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목질이며 사방으로 퍼진 수염뿌리에 황백색의 덩이뿌리가 달린다. 줄기 모여나며 높이 40-80cm이고 곧게 자란다. 잎 꽃대의 중앙 이하에.. 2017. 7. 15.
대새풀 대새풀 | 두루미피 Dae-sae-pul Cleistogenes hackelii (Honda) Honda ○ 국명정보 대새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대 +새풀", 대새풀이라는 이름은 아직까지 미상이다. ※줄기가 곧게 자라고 화서가 조릿대를 연상케하는 새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지 않았을까 추정해 본다. ○ 분류 벼과(Poaceae) 대새풀속(Cleistogenes) 대새풀, 수염대새풀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전국의 산지 건조한 숲 언저리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근경은 짧고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100㎝이고 월동아는 인편으로 싸여 있다. 잎 길이 4~10㎝, 너비 3~7㎜이며 엽초와 더불어 양면에 긴 털이 있고 엽설은 미세한 털의.. 2017.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