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풀
겨풀 | 개겨풀, 벼겨풀, 개조풀, 빕새풀, 개빕새피Gyeo-pulLeersia sayanuka Ohwi | Leersia oryzoides (L.) Sw. ○ 국명정보겨풀 : ?개조풀 :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국명의 유래 "겨 + 풀", 겨풀이라는 이름은 '벼의 곡식을 찧어 벗겨 낸 껍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인 '겨'에 풀이 합성된 것으로 영과의 껍질이 벼와 유사한 데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겨풀속(Leersia) 나도겨풀 / 좀겨풀 / 겨풀 ○ 분포|자생지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 북미, 한국 |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등의 하천 물가, 저수지, 논 주변 등에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습지식물 줄기 아랫..
2017. 8. 30.
숲개밀
숲개밀 | 산개밀, 숲새밀, 민숲개밀 Sup-gae-mil Brachypodium sylvaticum (Huds.) P.Beauv. ○ 국명정보 숲개밀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숲 + 개밀", 숲개밀이라는 이름은 주로 숲속에 나는 개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 (Poaceae) 숲개밀속 (Brachypodium) 숲개밀, 민숲개밀 ○ 분포|자생지 러시아(시베리아), 일본, 중국; 유럽, 중앙아시아 | 강원도 내금강, 남부지방의 낮은 산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여러 개의 줄기가 모여서 나오고, 높이 40~80cm이다. 마디는 4~5개이고 마디에 짧은 털이 있다. 잎 잎집은 마디 사이보다 짧고, 긴 털이 있다. 잎혀는 1~2mm이다. 잎몸은 길이 10~2..
2017. 8. 20.
물잔디
물잔디 | 선물잔디, 뗏장수초 Mul-jan-di Pseudoraphis ukishiba Ohwi ○ 국명정보 물잔디 : 박만규 : (1949) ○ 국명의 유래 "물 + 잔디", 물잔디라는 이라는 이름은 물에서 잔디처럼 군락을 이루어 자라는 잔디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 (Poaceae) 물잔디속(Pseudoraphis) 물잔디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 거의 전국의 저수지 주변에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물속에서 자라고, 가지가 벋어서 물 위에 뜬다. 잎 전체 꽃차례의 아랫부분은 잎집에 싸이고, 여러 개의 짧은 가지가 원추형으로 달려 원기둥 모양이다. 꽃 7~9월에 피는데 작은이삭에는 꽃이..
2017. 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