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쌀새(1) 쌀새(1) | 껍질새 Ssal-sae Melica onoei Franch. & Sav. ○ 국명정보 쌀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쌀 + 새", 쌀새라는 이름은 영과가 벼의 쌀과 유사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쌀새속(Melica) 쌀새 / 왕쌀새 / 껍질새 / 참쌀새 / 알티시마쌀새 '아트로퍼퍼레아'(재배)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거의 전국 산지 숲 속에 난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추서고 높이 90~150㎝이며 10여 개의 마디가 뿌리 가까이에 있고 하부의 마디는 잎몸이 없는 잎집으로 싸여 염주를 이어놓은 것 같다. 잎 선형으로 길이 15~30㎝, 너비 4~10㎜이고 잎집은 통형으로 마디 사이보다 길어 마디를 .. 2017. 9. 27.
큰개사탕수수 큰개사탕수수 | Keun-gae-sa-tang-su-su Saccharum arundinaceum Retzius 귀화식물 ○ 국명정보 큰개사탕수수 : 한국 미기록 벼과식물: 애기향모(Anthoxanthum glabrum (Trin.) Veldkamp)와 큰개사탕수수(Saccharum arundinaceum Retz.) 정수영 ( Su Young Jung ) , 이유미 ( You Mi Lee ) , 박수현 ( Soo Hyun Park ) , 양종철 ( Jong Cheol Yang ) , 장계선 ( Kae Sun Chang ) 식물분류학회지 | 2011 ○ 국명의 유래 "큰 + 개사탕수수", 큰개사탕수수이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상대적으로 큰 개사탕수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 (Poaceae) 개사.. 2017. 9. 26.
실새풀(1) 실새풀(1) | 새풀, 메뛰기피, 자주메뛰기피 Sil-sae-pul Calamagrostis arundinacea (L.) Roth | Calamagrostis brachytricha Steud. ○ 국명정보 실새풀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메뛰기피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실새 + 풀" 실새풀이라는 이름은 에 따른 것으로 소수의 작고 부드러운 생김새가 짧은 실 모양인 새 종류의 풀이라는 뜻이다. 에서는 피를 닯았다는 뜻에서 메뛰기피를 신칭해 기록했으나, 피와 형태가 식생의 차이가 많기 때문에 개칭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새풀속(Calamagrostis) 갯조풀.. 2017. 9. 15.
나래새(1) 나래새(1) | 수염새아재비 Na-rae-sae Achnatherum pekinense (Hance) Ohwi | Stipa pekinensis Hance ○ 국명정보 나래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나래 + 새", 나래새라는 이름은 날개(나래)가 있는 새(선형의 좁은 잎이 달린 풀, 벼과 식물을 총칭하는 말)에서 유래했다. 일본어 우모(羽鳥)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 분류 벼과(Poaceae) 나래새속(Stipa) 털나래새 / 나래새 / 수염풀 / 제주나래새 / 가는나래새 /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만주, 러시아 사할린, 한국 | 거의 전국 산야의 풀밭에서 난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모여나고 곧추서며 높이 80~150㎝이다. 잎 선형으.. 2017. 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