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식물/벼과314 물대(1) 물대(1) | 시내대, 왕갈대, 옹진갈 Mul-dae Arundo donax L. ○ 국명정보 물대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물 + 대", 물대라는 이름은 바닷가 물기가 있는 모래땅에 나는 갈대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 (Poaceae) 물대속 (Arundo) 물대 / 무늬물대 ○ 분포|자생지 인도, 일본, 중국; 아시아(열대), 지중해 지역 등의 바닷가 모래땅 | 남부지방의 정원, 공원 등에 관상용으로 식재한 것이 야생화하여 들에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해살이풀, 습지식물 땅속줄기 굵고 마디가 많다. 줄기 높이는 2~4m에 달한다. 잎 잎집에는 털이 없고 입구에 잎귀가 있다. 잎몸은 길이 20~80cm, 너비 2~5cm이다. 잎혀는 길이 1mm로서 가장자리에 털.. 2017. 10. 10. 좀물뚝새(1) 좀물뚝새(1) | 이삭피 Jom-mul-ttuk-sae Sacciolepis indica (L.) Chase var. indica ○ 국명정보 좀물뚝새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좀 + 물뚝새", 좀물뚝새라는 이름은 물뚝새에 비해 식물체가 작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좀물뚝새속(Sacciolepis) 좀물뚝새 / 물뚝새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대만, 중국, 만주, 인도, 유럽, 북미 | 거의 전도의 습지에 난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기부에서 때로 분지하여 비스듬히 서거나 포복하며 높이 10~40㎝이다. 잎 길이 4~10㎝, 너비 2~4㎜이고 털이 없으며 엽설은 몹시 짧다. 꽃 6~8월에 피고 원추화서로 달린다. 화서는 길이 1~6㎝로 곧추서고 소수가 .. 2017. 10. 3. 잔디바랭이 잔디바랭이 | 잔디바랑이, 가지바랭이, 잔디바랑이새 Jan-di-ba-raeng-i Dimeria ornithopoda Trin. ○ 국명정보 잔디바랭이 : 이창복 (1969) ○ 국명의 유래 "잔디 + 바랭이", 잔디바랭이라는 이름은 전체 꽃차례의 가지가 줄기 끝에 손바닥 모양으로 달리는 점에서 바랭이와 유사한 잔디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벼과(Poaceae) 바랭이속(Digitaria) 갯바랭이 / 잔디바랭이 ○ 분포|자생지 한국. 인도, 일본,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인도차이나 | 남부지방의 습지와 산록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한해살이풀 줄기 가늘고 가지를 친다. 높이는 15~35cm이며 2~15개의 마디가 있다. 잎 잎집에는 털이 있고, 잎혀는 흰색 막질로.. 2017. 10. 2. 민바랭이(1) 민바랭이(1) | 민바랑이 Min-ba-raeng-i Digitaria violascens Link ○ 국명정보 민바랭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민 + 바랭이" 민바랭이라는 이름은 잎집에 털이 없는(민) 바랭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바랭이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민을 추가하여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바랭이라는 이름은 줄기의 밑부분이 지상을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나와 자라는 모습이 마치 바라와 같다는 것에서 유래했다. 바랭이의 옛이름은 바랑이, 바라기이다. 이 두 명칭은 모두 어근을 '바라'로 하고 있다. 바라는 處라는 기록이 있다. 바라는 바(所)와 라(땅이 넓게 퍼진 상태를 뜻하는 .. 2017. 10. 2.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