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진퍼리새 진퍼리새 | 물이삭새, Japanese moorgrass Jin-peo-ri-sae Moliniopsis japonica (Hack.) Hayata | Molinia japonica Hack. ○ 국명정보 진퍼리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진퍼리 + 새", 진퍼리새라는 이름은 땅이 질어서 질퍽한 벌(습지)인 진펄, 달리 진퍼리에서 주로 나는 새라른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 (Poaceae) 진퍼리새속 (Molinia) 진퍼리새 / 무늬몰리니아(재배)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극동 지역 |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등의 산지의 습한 곳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한해살이풀 줄기 여러 개가 모여나고, .. 2017. 11. 26.
퍼플배런 수수 퍼플배런 수수 | 영명 Pearl millet(펄밀렛=진주기장) Pennisetum glaucum 'Purple Baron' 원곡물 재배식물 Pennisetum glaucum ( L. ) R.Br. => 원예식물으로 품종 개량 ○ 분류 벼과 (Poaceae) 펜니세툼속 (Pennisetum) ○ 분포|자생지 아프리카, 인도 원산 |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 형태 생활형 한해살이풀 줄기 잎 .. 2017. 10. 28.
물대(2) 물대(2) | 시내대, 왕갈대, 옹진갈 Mul-dae Arundo donax L. ○ 국명정보 물대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물 + 대", 물대라는 이름은 바닷가 물기가 있는 모래땅에 나는 갈대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 (Poaceae) 물대속 (Arundo) 물대 / 무늬물대 ○ 분포|자생지 인도, 일본, 중국; 아시아(열대), 지중해 지역 등의 바닷가 모래땅 | 남부지방의 정원, 공원 등에 관상용으로 식재한 것이 야생화하여 들에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해살이풀, 습지식물 땅속줄기 굵고 마디가 많다. 줄기 높이는 2~4m에 달한다. 잎 잎집에는 털이 없고 입구에 잎귀가 있다. 잎몸은 길이 20~80cm, 너비 2~5cm이다. 잎혀는 길이 1mm로서 가장자리에 털.. 2017. 10. 28.
각시그령 각시그령 | 자주암크령, 각씨그령, 일본명 日本知風草, 日本鯽魚草 Gak-si-geu-ryeong Eragrostis japonica (Thunb.) Trin. ○ 국명정보 각시그령 : 이우철 (1996) / 이우철 (1996) ○ 국명의 유래 1. "각시 + 그령", 각시그령이라는 이름은 붉은색 화서가 각시처럼 작고 예쁜 그령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2. 식물체가 작고 부드러운 형상에서 비롯하며, 열매가 작은 쌀알 같은 그령이란 의미의 일본명 코고메카제쿠사(小米風草)와 일치한다. ○ 분류 벼과(Poaceae) 그령속(Eragrostis) 각시그령 / 그령 / 비노리 / 참새그령 ○ 분포|자생지 난온대, 대만, 중국(남부), 일본(혼슈 이남), 한국 | 전국 주로 남부지방의 농촌 밭과 그 주변, 양지.. 2017. 10.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