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새(1)
기름새(1) | アブラススキGi-reum-saeSpodiopogon cotulifer (Thunb.) Hack. ○ 국명정보기름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기름 + 새", 기름새라는 이름은 잎에 광택이 있고 줄기에서 양념으로 쓰는 기름 냄새가 나는 것을 '기름'에 비유하고, 외떡잎식물 중 벼와 같은 좁고 날카로운 잎을 가진 식물을 지칭하는 고유어 새를 붙인 것에서 유래했다. 현재 동북아 3국이 모두 유사한 뜻의 식물명을 공유하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기름새속(Spodiopogon) 기름새 / 큰기름새 ○ 분포|자생지 일본, 대만, 중국(만주), 인도(북부), 한국 | 제주..
2018. 9. 22.
수수새
수수새 | 기장새, 마디털새, 좀기장새 Ae-gi-a-uk Sorghum nitidum (Vahl) Pers. ○ 국명정보 수수새 : 이창복 (1969) ○ 국명의 유래 "수수 + 새", 수수새라는 이름은 수수를 닮은 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새는 띠, 억새 등 볏과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 분류 벼과 (Poaceae) 수수새속 (Sorghum) 수수새, 비수수, 단수수, 수수, 무망시리아수수새, 시리아수수새 ○ 분포|자생지 한국, 중국, 일본, 미얀마, 인도 | 경기도, 전라남도, 제주도 등의 바닷가와 섬의 풀밭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여러 개가 모여나며, 곧게 서고, 높이 50~100cm, 4~6개의 마디가 있고, 마디에 흰 털이 있다. 잎 잎집은 털이 없거나 약간 있..
2018. 9. 22.
보리
보리 | 역기름, 것보리, 겉보리/껏보리, 대맥(大麥) Bo-ri Hordeum vulgare L.(1753) | 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 (L.) Asch. 재배식물 ○ 국명정보 보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보리" 라는 이름은 고대 중국에서도 유사한 발음을 보이는데, 보리의 원산지가 서북아시아인 점 등으로 미루어 보리의 원산 지역에서 전래된 말로 추정한다. 한편 의 包來에서 그 어원을 찾아, 소맥(밀)에 비해 알곡이 쉽게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포래라는 이름이 유래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보리속(Hordeum) 보리, 쌀보리, 좀보..
2018.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