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나래새(2) 나래새(2) | 수염새아재비 Na-rae-sae Achnatherum pekinense (Hance) Ohwi | Stipa pekinensis Hance ○ 국명정보 나래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나래 + 새", 나래새라는 이름은 날개(나래)가 있는 새(선형의 좁은 잎이 달린 풀, 벼과 식물을 총칭하는 말)에서 유래했다. 일본어 우모(羽鳥)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 분류 벼과(Poaceae) 나래새속(Stipa) 털나래새 / 나래새 / 수염풀 / 제주나래새 / 가는나래새 /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만주, 러시아 사할린, 한국 | 거의 전국 산야의 풀밭에서 난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모여나고 곧추서며 높이 80~150㎝이다. 잎 선형으.. 2018. 10. 19.
달뿌리풀(1) 달뿌리풀(1) | 덩굴달, 달 Dal-bbu-ri-pul Phragmites japonica Steud. ○ 국명 정보 -달뿌리풀 ; 정태현 외2 (1949) -달 ; 2018. 10. 15.
광릉용수염(2) 광릉용수염(2) | 광릉용수염풀 Kwang-reung-yong-su-yeom Diarrhena fauriei (Hack.) Ohwi ○ 국명정보 광릉용수염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광릉 + 용수염", 광릉용수염이라는 이름은 경기도 포천 광릉에 나는 용수염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용수염풀속(Diarrhena) 용수염풀 / 고려용수염 / 광릉용수염 / 껍질용수염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의 숲 속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여러 대가 나오며, 높이 60~100cm이다. 마디는 5~7개이며 아래쪽의 마디에 털이 있고, 잎집 밖으로 나온다. 잎 잎몸은 길이 18~30cm이고, 너비.. 2018. 10. 15.
왕미꾸리광이(1) 왕미꾸리광이(1) |왕미꾸리꽝이, 넓은잎진들피, 왕진들피, 왕미꾸리꽝기 Wang-mi-kku-ri-gwang-i Glyceria leptolepis Ohwi ○ 국명정보 왕미꾸리광이 : 정태현 (1956) 왕미꾸리꽝기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왕 + 미꾸리광이", 왕미꾸리광이라는 이름은 상대적으로 잎이 보다 넓은 미꾸리광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속(Glyceria) 긴진들피, 두메미꾸리광이, 검정진들피, 총전광이, 왕미꾸리광이, 진들피. 육절보리, 유럽육절보리(귀화)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 극동부, 한국 | 전국 산지의 저지대 냇가, 물가, 습지 등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옆으로 뻗는다. 줄기 한 개씩 단생.. 2018. 10.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