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큰조아재비(1) 큰조아재비(1) | 산조아재비, 지모시 Keun-jo-a-jae-bi Phleum pratense L. 귀화식물 ○ 국명정보 큰조아재비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큰 + 조아재비", 큰조아재비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상대적으로 보다 큰 조아재비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산조아재비속(Phleum) 산조아재비 / 큰조아재비 / 작은조아재비 ○ 분포|자생지 유럽, 시베리아 원산 | 목초로 재배하던 것이 전국에 야생화되어 임도 가장자리, 길가, 풀밭 등에 자란다. 강원도 대관령과 춘천 근교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50-100cm이고 총생한다. 잎 편평하며 길이 15-60cm, 폭 5-10mm로서 녹색이고 엽초는 둥글며.. 2019. 6. 22.
왕쌀새(1) 왕쌀새(1) | 흰껍질새, 청쌀새, Wang-ssal-sae Melica nutans L. ○ 국명정보 왕쌀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왕 + 쌀새", 왕쌀새라는 이름은 이 식물의 영과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쌀새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쌀새속(Melica) 왕쌀새 / 쌀새 / 찹쌀새 / 큰껍질새 ○ 분포|자생지 구아대륙 | 제주를 제외한 거의 전도의 숲 속 풀밭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근경 가늘고 인편으로 덮여 있으며 줄기 곧추서고 둔한 능선이 있다. 잎 선형으로 길이 5~15㎝, 너비 2~5㎜이며 거칠고 엽초는 통형으로 네모지며 종종 적자색을 띠고 엽설은 막질로 길이 1㎜ 이하이다. 꽃 6~7월에 피며 원추화서로 나오나 좁고 길.. 2019. 6. 15.
갯그령(1) 갯그령(1) | 갯크령, 왕갯보리, 조선갯보리 Gaet-geu-ryeong Elymus mollis Trinius ○ 국명정보 갯그령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갯 + 그령", 갯그령이라는 이름은 바닷가(갯)에 자라는 그령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그령이라는 이름은 역어유해에 여우 꼬리를 잡는 풀이라는 뜻의 狗尾把草(구미파초)라는 이름이 있는 것으로 보아 풀을 묶거나 동여매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갯보리속(Elymus) 고려개보리 / 산갯보리 / 갯보리 / 갯그령 / 개보리 ○ 분포|자생지 중국, 한국, 일본, 러시아, 북미 | 경북, 경기 이북의 바닷가 모래밭에 자.. 2019. 5. 16.
구내풀(2) 구내풀(2) | 꾸렘이풀, 히사우치포아풀, 히사우지풀, 도랑꿰미풀 Gu-nae-pul Poa hisauchii Honda ○ 국명정보 구내풀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구내 + 풀", 구내풀이라는 이름은 구내(溝內) 즉 도랑 안에서 나는 포아풀이라는 뜻이나, 종소명 히사우찌가 한자로 久內이므로 이 발음과 유사하여 구내(溝內)를 차용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분류 벼과과(Poaceae) 포아풀속(Poa) 가는잎포아풀 / 갑산포아풀 / 관모포아풀 / 구내풀 / 금강포아풀 / 눈포아풀 / 두메포아풀 / 새포아풀 / 선포아풀 / 섬포아풀 / 시베리아포아풀 / 실포아풀 / 마디포아풀 / 왕포아풀 / 울릉포아풀 / 이삭포아풀 / 자주포아풀 / 좀꾸러미풀 / 좀포아풀 / 청포아풀 / 코마로브포아풀 / .. 2019.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