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능수참새그령(1) 능수참새그령(1) Neung-su-cham-sae-geu-ryeong Eragrostis curvula Nees ○ 국명정보 능수참새그령 : 박수현 (1995) ○ 국명의 유래 "능수 + 참새그령", 능수참새그령이라는 이름은 건조하면 뿌리 근처에서 모여 나는 좁은 잎이 윗면으로 말리는 것이 활 모양으로 휘어져 늘어지는 참새그령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참새그령속(Eragrostis) 참새그령 / 각시그령 / 큰비노리 / 비노리 / 좀새그령 / 그령 / 능수참새그령 ○ 분포|자생지 남아프리카 원산 | 경기도 안산시 외곽 바닷가 언덕에서 채집되었다. 사방용으로 들여온 것이 지금은 전국의 임도, 도로가 절개지 근처에 야생화하여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다수 속생하며 높이.. 2019. 7. 7.
나래새(2) 나래새(2) | 수염새아재비 Na-rae-sae Achnatherum pekinense (Hance) Ohwi | Stipa pekinensis Hance ○ 국명정보 나래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나래 + 새", 나래새라는 이름은 날개(나래)가 있는 새(선형의 좁은 잎이 달린 풀, 벼과 식물을 총칭하는 말)에서 유래했다. 일본어 우모(羽鳥)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 분류 벼과(Poaceae) 나래새속(Stipa) 털나래새 / 나래새 / 수염풀 / 제주나래새 / 가는나래새 /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만주, 러시아 사할린, 한국 | 거의 전국 산야의 풀밭에서 난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모여나고 곧추서며 높이 80~150㎝이다. 잎 선형으.. 2019. 7. 7.
대새풀(1) 대새풀(1) | 두루미피 Dae-sae-pul Cleistogenes hackelii (Honda) Honda ○ 국명정보 대새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대 +새풀", 대새풀이라는 이름은 아직까지 미상이다. ※줄기가 곧게 자라고 화서가 조릿대를 연상케하는 새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지 않았을까 추정해 본다. ○ 분류 벼과(Poaceae) 대새풀속(Cleistogenes) 대새풀, 수염대새풀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전국의 산지 건조한 숲 언저리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근경은 짧고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100㎝이고 월동아는 인편으로 싸여 있다. 잎 길이 4~10㎝, 너비 3~7㎜이며 엽초와 더불어 양면에 긴 털이 있고 엽설은 미세한.. 2019. 7. 7.
수염개밀 수염개밀 | GSu-yeom-gae-mil Asperella longearistata (Hack.) Ohwi, 1941. | Hystrix longearistata Honda, 1930. / Asperella sibirica var. longearistata Hack., 1904. ○ 분류 벼과(Poaceae) 수염개밀속(Asperella) 수염개밀 ○ 분포|자생지 일본, 네팔, 히말라야, 한국 | 경기도, 강원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등의 산지 숲 속에서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굵은 땅속줄기가 있고, 줄기는 곧게 선다. 높이는 70~120cm이며, 4~6개의 마디가 있고 잎집 밖으로 나온다. 잎 가장 아래의 잎들은 잎집 모양이고 줄기 중간에 잎몸이 긴 잎들이 달린다. 잎몸.. 2019.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