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갈대(1) 갈대(1) | 갈때, 북달, 갈, 달, Gal-dae Phragmites communis Trin. ○ 국명정보 갈대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갈때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갈대의 직접적인 어원은 의 'ㄱ·ㄽ대[蘆管]인데, 이는 갈과 대나무 또는 대롱의 합성어이다. 갈의 정확한 뜻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한국어와 유사한 언어 계통인 터기어에 Kalem이 있으므로 한민족이 한반도에 이동하기 이전에 형성된 말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갈대속(Phragmites) 갈대 / 달뿌리풀 / 큰달뿌리풀 ○ 분포|자생지 온대와 한대 | 전국 습지나 갯가, 또는 호수 주변의 모래땅에 흔히 군락을.. 2018. 10. 14.
털조릿대풀 털조릿대풀 | 개조릿대풀, 개그늘새, 너도조릿대풀 Teol-jo-rit-dae-pul Lophatherum sinense Rendle ○ 국명정보 털조릿대풀 : 이창복 (1969) ○ 국명의 유래 "털 + 조릿대풀", 털조릿대풀이라는 이름은 조리를 만드는 조릿대를 닮은 풀인데 포영의 뒷면 윗부분에과 가장자리 안쪽에 털이 있는 조릿대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조릿대풀속(Lophatherum) 조릿대풀, 털조릿대풀(Lophatherum sinense Rendle ) ○ 분포|자생지 한국, 중국, 일본 | 남부지방의 산지 숲 속이나 습지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 나무처럼 딱딱하다. 줄기 여러 개의 줄기가 모여나며, 높이는 60~90cm이고, 마디는 4~6.. 2018. 10. 2.
갯강지풀(1) 갯강지풀(1) | 좀강아지풀 Gat-gang-a-ji-pul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kino & Nemoto | Panicum pachystachys Franch. & Sav. ○ 국명정보 갯강아지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갯 + 강아지풀", 갯강아지풀이라는 이름은 바닷가(갯)에 나는 강아지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강아지풀이라는 이름은 꽃이삭을 손바닥 위에 올려 놓고 손을 오므렸다 펴는 운동을 반복하면 강아지처럼 앞으로 기어간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강아지풀속(Setaria) 가을강아지풀 / 금강아지풀 / 수강아지풀 / 유럽강아지풀 / 조 / 조아재비 / 강아지풀 / .. 2018. 9. 25.
좀겨풀(1) 좀겨풀(1) | 겨풀, 개빕새피, 쌀겨풀Jom-gyeo-pulLeersia oryzoides (L.) Sw.  ○ 국명정보좀겨풀 : 이창복 (1969)○ 국명의 유래 "좀 + 겨풀", 좀겨풀이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상대적으로 작은 겨풀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겨풀속(Leersia) 나도겨풀 / 좀겨풀 / 겨풀 ○ 분포|자생지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 북미, 한국  | 거의 전역의 축축한 강둑, 물가, 논 주변 등에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습지식물   줄기  밑부분이 옆으로 뻗다가 윗부분이 일어서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가 50cm에 달하며 마디에 밑을 향한 거센 털이 있다.    잎  편평하지만 마르면 오그라들고 길이 15-25cm, 나비 8-.. 2018.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