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나도바랭이(20170919) 나도바랭이(20170919) | 영명:Feather fingergrassNa-do-ba-raeng-iChloris virgata Swartz.  귀화식물 ○ 국명정보나도바랭이 : 이창복 (1969)○ 국명의 유래 "나도 + 바랭이", 라는 이름은 형태상 바랭이와 유사하지만 똑같지는 않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aceae) 나도바랭이속(Chloris)  나도바랭이 ○ 분포|자생지   열대 아메리카 원산 | 개항 이후 우리나라에 귀화하여 서해안 바닷가나 매립지에 분포한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줄기의 기부 마디에서 구부러지고 옆으로 누운 마디에서 뿌리를 내며 높이 20~50㎝이다.    잎  기부에 많은 것이 모여 나고 선형으로 길이 5~25㎝, 너비 4~7㎜이며 중앙맥을 따.. 2017. 10. 26.
참새그령 참새그령 | 흰암그령, 참새크령(북한명) Cham-sae-geu-ryeong Eragrostis cilianensis (Bellardi) Link ex Janch. ○ 국명정보 참새그령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참새 + 그령", 참새그령이라는 이름은 그령에 비해 쓸모가 덜하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벼과 (Poaceae) 참새그령속 (Eragrostis) 참새그령, 큰비노리, 비노리, 좀새그령, 그령, 각시그령, 엘리웃그령(재배), 트리코데스참새그령(재배), 꽃그령(재배), 능수참새그령(재배) ○ 분포|자생지 북반구 온대와 열대 | 전국의 경작지 근처, 길가. 건조한 풀밭 등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한해살이풀, 방귀벌레 냄새가 난다. 줄기 곧추서거나 밑에서 어긋나.. 2017. 10. 26.
털물참새피 털물참새피 | Teol-mul-cham-sae-pi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 국명정보 털물참새피 :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95) ○ 국명의 유래 "털 + 물 + 참새피" 털물참새피라는 이름은 전체적으로 참새피를 닮았으나 물기가 있는 곳에 주로 생육하고, 형태적으로 잎집에 털이 있는 특징으로 붙여졌다. 물참새피라는 이름은 생육지가 물기가 있는 곳에서 주로 자라는 참새피 종류라는 데서 유래했다. 참새피라는 이름은 참새와 피의 합성어로, 피를 닮은 식물인데 꽃차례가 작고 앙증맞은 것이 참새를 연상시킨다는 뜻 또는 참새를 포함한 작은 새들에게 식량이 되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2017. 10. 23.
조개풀(1) 조개풀(1) | 솜털개쇠보리, 黃草 Jo-gae-pul Arthraxon hispidus (Thunb.) Makino ○ 국명정보 조개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조개 + 풀" 조개풀이란 이름은 긴 잎집을 가진 잎의 모양이 조개를 닮은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예로부터 노란색을 내는 염색제로 사용했고 한자명 黃草는 이 때문에 유래한 이름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조개풀속(Arthraxon) 조개풀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몽고,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시베리아), 일본, 한국, 인도, 말레이시아 | 전국 도랑이나 논밭 언저리, 길가에서 흔히 자란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밑에.. 2017.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