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새그령 | 흰암그령, 참새크령(북한명)
Cham-sae-geu-ryeong
Eragrostis cilianensis (Bellardi) Link ex Janch.
○ 국명정보
참새그령 : 이창복 <대한식물도감>(1980)
○ 국명의 유래
"참새 + 그령", 참새그령이라는 이름은 그령에 비해 쓸모가 덜하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벼과 (Poaceae) 참새그령속 (Eragrostis)
참새그령, 큰비노리, 비노리, 좀새그령, 그령, 각시그령, 엘리웃그령(재배), 트리코데스참새그령(재배), 꽃그령(재배), 능수참새그령(재배)
○ 분포|자생지
북반구 온대와 열대 | 전국의 경작지 근처, 길가. 건조한 풀밭 등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한해살이풀, 방귀벌레 냄새가 난다.
줄기 곧추서거나 밑에서 어긋나며 높이 20~80cm이다.
잎 잎집은 마디사이보다 짧으며 세로 줄무늬가 있다. 잎혀는 퇴화하여 털로 되고 길이 0.5~1mm이다. 잎몸은 편평하거나 다소 안으로 말리며 길이 10~20cm, 폭 2~6mm이다.
꽃 원추꽃차례는 길이 5~20cm이다. 작은이삭은 길이 5~15mm, 폭 2.5~3mm, 회색빛이 도는 풀색이고 10~30개의 낱꽃으로 이루어져 있다. 포영은 길이 1.2~2.5mm, 제1포영이 다소 짧은 것도 있다. 제1포영은 보통 1개의 맥이 있고 제2포영은 3맥이 있다. 외영은 난형이고 길이 2~2.5mm, 끝은 무디다. 내영의 길이 외영의 3/4이다. 열매는 영과, 넓은 난형, 길이 0.6mm, 지름 0.5mm 정도이다. 꽃은 8~10월에 핀다.
열매 영과, 구형이며 0.5mm 정도이고 암갈색 혹은 홍색이다. 8-10월에 열매를 맺는다.
○ 동정 포인트
1. 이 종에 비해 좀새그령은 작은이삭의 폭이 1.5~2mm 정도로 좁고, 꽃의 수가 적으며 자루가 길어서 성글게 달리므로 구분된다.
○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 여적
2017. 09. 19. 경상도 합천 창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