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논피 논피 | 강피 Non-pi Echinochloa oryzicola (Vasinger) Vasinger | Echinochloa oryzoides (Ard.) Fritsch ○ 국명정보 논피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 "논 + 피", 논피라는 이름은 나고 자라는 장소가 주로 논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피속(Echinochloa) 돌피 / 좀돌피 / 대만피 / 논피 / 피 / 물피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등지| 경기도 이남의 논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수생 한해살이풀 줄기 높이 80∼110cm로 곧게 자라며 마디는 낮게 있다. 줄기는 잎집에 싸여 있으며 연한 녹색으로 편평하다. 뿌리 수염뿌리가 모여난다. 잎 긴 줄 모양 바소꼴로 길이 .. 2017. 9. 4.
피 | 남돌피, 참피 Pi Echinochloa utilis Ohwi & Yabuno ○ 국명정보 피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피라는 이름이 한자명 피[稗, 중국 발음 bai (피 패)]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중국에서는 유물도 출토되지 않고, 문헌 기록도 없다. 그러나 한구, 일본에서는 피 재배가 오래되어 중국으로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아이누어로 피가 'piyapa'인 점에 비추어 오래 전부터 사용하던 말에서 우리말 피가 유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피속(Echinochloa) 돌피 / 좀돌피 / 대만피 / 논피 / 피 / 물피 ○ 분포|.. 2017. 9. 4.
물대 물대 | 시내대, 왕갈대, 옹진갈 Mul-dae Arundo donax L. ○ 국명정보 물대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물 + 대", 물대라는 이름은 바닷가 물기가 있는 모래땅에 나는 갈대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 (Poaceae) 물대속 (Arundo) 물대 / 무늬물대 ○ 분포|자생지 인도, 일본, 중국; 아시아(열대), 지중해 지역 등의 바닷가 모래땅 | 남부지방의 정원, 공원 등에 관상용으로 식재한 것이 야생화하여 들에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해살이풀, 습지식물 땅속줄기 굵고 마디가 많다. 줄기 높이는 2~4m에 달한다. 잎 잎집에는 털이 없고 입구에 잎귀가 있다. 잎몸은 길이 20~80cm, 너비 2~5cm이다. 잎혀는 길이 1m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 2017. 8. 30.
들비노리 들비노리 | tufted lovegrass Deul-bi-no-ri Eragrostis pectinacea ( Michx. ) Stees Nees . 귀화식물 ○ 국명정보 들비노리 : ? ○ 국명의 유래 "들 + 비노리", 들비노리라는 이름은 들에서 자라는 비노리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벼과(Poaceae) 속(Eragrostis) 각시그령 / 그령 / 능수참새그령 / 비노리 / 좀새그령 / 참새그령 / 큰비노리 / 들비노리 ○ 분포|자생지 캐나다~미국 원산 | 남부지방의 생태 교란지역에 난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여러 개가 모여나며, 높이 8-30cm이고, 1-3개의 마디가 있다. 잎집은 털이 없고 암갈색이다. 잎 잎몸은 길이 5-12cm이고, 너비 1-3mm이다. 잎혀.. 2017.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