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밀 | 약누룩, 소맥 Mil Triticum aestivum L. 재배식물 ○ 국명정보 밀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밀은 아프카니스탄, 아르메니아, 터키가 원산지로 인도, 중국, 몽골을 거쳐 B.C.200-100년에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밀을 뜻하는 만주어 'mere'처럼 주변국에서도 음가가 유사한 표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원산지에서 전래되는 과정에 만들어진 언어이고, 한반도에 이르러 밀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밀속(Triticum) 밀 ○ 분포|자생지 중동 지역 원산, 전 세계 재배| 전국 밭에 재배한다. ○ 형태 생활형 두해살이풀 줄기 여러 개가 .. 2016. 5. 2.
해장죽 해장죽 | Hae-jang-juk Arundinaria simonii (Carriere) A. & C.Riviere ○ 국명정보 해장죽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해장죽이라는 이름은 한자명 海藏竹 또는 海長竹에서 유래한 것이다. 海藏竹은 바다를 감추는 대나무란 뜻이고, 海長竹은 바닷가에 길게 자라는 대나무란 뜻으로, 바닷가에 주로 자라며 방풍림 등으로 활용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대나무아과(Bambusoideae)>해장죽족(Arundinarieae)>해장죽속(Arundinaria) 해장죽 ○ 분포|자생지 일본 원산 | 충남 이남의 강가나 해안 가까운 곳에 무리지어 .. 2016. 2. 27.
겨이삭(1) 겨이삭(1) | 참겨이삭(북한명) Gyeo-i-sak Agrostis clavata var. nukabo Ohwi ○ 국명정보 겨이삭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겨 + 이삭" 겨이삭이라는 이름은 꽃차례가 이삭 모양을 피고 포영이 남아 있는 모양이 쌀겨를 뿌린 것 같이 보이기 때문에 붙여졌다. 쌀겨 이삭을 뜻하는 일본명 ヌカボ에서 힌트를 얻어서 국명이 지어졌다는 견해가 있으나 조선식물향명집에서는 신칭한 이름으로 기록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Gramineae) 겨이삭속(Agrostis ) 흰겨이삿/ 검은겨이삭/ 민메기이삭 / 산겨이삭 / 겨이삭 / 엉성겨이삭.. 2016. 2. 10.
왕김의털아재비 왕김의털아재비 | Wang-gim-ui-teol-a-jae-bi Festuca extremiorientalis Ohwi ○ 국명정보 왕김의털아재비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왕김의털 + 아재비", 왕김의털아재비라는 이름은 형태적으로 왕김의털과 유사한(아재비)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김의털속(Festuca) 산묵새 / 김의털아재비 / 왕김의털아재비 / 김의털 /참김의털 /왕김의털 / 사방김의털 / 넓은잎김의털 / 큰김의털 / 개묵새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 일본, 한국 | 전국의 높은 산지, 햇빛이 들고 습기가 많은 숲 속의 냇가에 소규모 군락으로 자란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근경 짧고, 옆으로 기다 새싹이 생긴다. 줄기 높이 40~130cm.. 2016.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