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바랭이 바랭이 | 바랑이, 털바랭이, 털바랑이 Ba-raeng-i Digitaria sanguinalis (L.) Scop. | Digitaria ciliaris (Retz.) Koeler ○ 국명정보 바랭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바랭이라는 이름은 줄기의 밑부분이 지상을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나와 자라는 모습이 마치 바라와 같다는 것에서 유래했다. 바랭이의 옛이름은 바랑이, 바라기이다. 이 두 명칭은 모두 어근을 '바라'로 하고 있다. 바라는 處라는 기록이 있다. 바라는 바(所)와 라(땅이 넓게 퍼진 상태를 뜻하는 말)의 합성어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바랭이속(Digitaria) 민바랭이 .. 2014. 8. 12.
왕바랭이 왕바랭이 | 왕바랑이, 길잡이풀/씨름풀/왕바래이 Wang-ba-raeng-i Eleusine indica (L.) Gaertn. ○ 국명정보 왕바랭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왕 + 바랭이" 왕바랭이라는 이름은 바랭이에 비해 식물체가 크다(왕)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왕바랭이속(Eleusine) 왕바랭이 ○ 분포|자생지 중국 | 전국의 햇빛이 잘 드는 길가, 경작지 주변과 빈터에 자란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여러 개가 나며 비스듬히 선다. 높이는 15-60cm이고, 2-3개의 마디가 있다. 잎 잎집은 납작하고, 입구에 긴 털이 있다. 잎몸은 길이 5-40cm이고, 너.. 2014. 8. 12.
큰조아재비 큰조아재비 | 산조아재비, 지모시 Keun-jo-a-jae-bi Phleum pratense L. ○ 국명정보 큰조아재비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큰 + 조아재비", 큰조아재비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상대적으로 보다 큰 조아재비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산조아재비속(Phleum) 산조아재비 / 큰조아재비 / 작은조아재비 ○ 분포|자생지 유럽, 시베리아 원산 | 목초로 재배하던 것이 전국에 야생화되어 임도 가장자리, 길가, 풀밭 등에 자란다. 강원도 대관령과 춘천 근교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50-100cm이고 총생한다. 잎 편평하며 길이 15-60cm, 폭 5-10mm로서 녹색이고 엽초는 둥글며, 엽설은 막질.. 2014. 8. 7.
왕잔디 왕잔디 | 큰잔디 Wang-jan-di Zoysia macrostachya Franch. & Sav. ○ 국명정보 왕잔디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왕 + 잔디" 왕잔디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잔디에 비해 큰[왕] 데서 유래했다. 잔디라는 명칭을 기본으로 하고 형태적 특징인 '왕'을 첨가하여 신칭했다. 잔디라는 이름은 '잘(다) + ㄴ + 뒤/ㅅㄷㅟ/ㅂㄷㅟㅂㄷㅚ(茅)'로 이루어졌다. 크기가 작은 띠 종류의 풀이란 뜻에서 유래했다. '젼ㅂㄷㅚ>쟘ㅂㄷㅟ>잔듸>잔디'의 변화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화본과(Poaceae) 잔디속(zoysia) 갯잔디 / 금잔디 / 왕잔디 / 잔디 ○ 분포|자생지 일본,.. 2014. 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