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갈풀 갈풀 | 달, 흰갈풀, 흰줄갈풀 Gal-pul Phalaris arundinacea L. ○ 국명정보 갈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갈 + 풀", 갈풀이라는 이름은 모를 낼 논에 거름을 주기 위하여 베어 놓은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이우철 갈풀의 '갈'은 동사 '갈다'에서 온 것으로 본다. ○ 분류 벼과(Poaceae) 갈풀속(Phalaris) 갈풀 / 애기카나리새풀 / 카나리새풀 / 흰줄갈풀 ○ 분포|자생지 북반구 온대 | 전국의 들판, 물가, 저수지의 가장자리를 비롯하여 냇가나 도랑 근처의 습한 풀밭에 흔히 무리를 짓는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보통 1개가 나와 곧게 자라며 높이 50-120cm이다. 잎 잎집에는 털이 없다. 잎혀는 막질이고 길이 2-3mm이.. 2014. 5. 27.
개피 개피 | 물피, 늪피 Gae-pi Beckmannia syzigachne (Steud.) Fernald ○ 국명정보 개피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개 + 피" 개피라는 이름은 피와 별도의 속에 속하지만, 피를 닮았거나 피가 서식할 만한 곳에서 자란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 개피속(Beckmannia) 개피 ○ 분포|자생지 몽골, 러시아, 유럽, 북미의 북부와 서부, 한국 | 전국 들판, 습한 풀밭 및 물가나 논두렁 주변에 흔히 무리를 짓는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모여나고, 곧게 서며, 높이 20-90cm, 2-4개의 마디가 있으며, 잎집에 싸인다. 잎 길이 7-20cm.. 2014. 5. 16.
뚝새풀 뚝새풀 | 둑새풀 Ttuk-sae-pul Alopecurus aequalis Sobol. | 이명 Alopecurus geniculatus var. aequalis (Sobol.) Paunero ○ 국명정보 뚝새풀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둑새풀(독개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뚝새풀이라는 이름은 논가에 쌓아 올린 둑이나 길가의 촉촉한 땅에서 잘 자라는 새(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한편 둑새가 독사의 평안 방언이고, 지방명 중에 독사를 의미하는 독새가 있으며 뚝새풀에 해독작용이 있음을 이유로 독사에 물렸을 때 상처에 치료하는 풀이란 뜻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 내 고향 전북에서는 뚝새풀을 어려서 독새기라고 불렀다. 참고 : 조민제, .. 2014. 4. 27.
띠 | 띄, 삘기, 삐비 Tti Imperata cylindrica (L.) Raeusch. var. koenigii (Retz.) Benth. ex Pilg. ○ 국명정보 띠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띠라는 이름은 옛말 뒤잇(뒤)이 어원으로, 땅속줄기가 보이지 않고 땅속에 있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띠속(Imperata) 띠 ○ 분포|자생지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등 | 전국 산지와 들판, 햇빛이 잘 드는 경작지 주변, 비교적 고도가 낮은 지역의 풀밭, 특히 무덤가 주변에 흔히 무리를 지어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 2014.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