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501

태백기린초 태백기린초 Tae-baek-gi-rin-cho Sedum latiovalifolium Y. N. Lee 한반도고유종 ○ 국명정보 태백기린초 :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국명의 유래 "태백 + 기린초", 태백기린초라는 이름은 강원도 태백산 지역에서 처음 발견 채집된 데서 유래했다. ○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돌나물속(Sedum) 가는기린초 / 갯돌나물 / 기린초 / 돌나물 / 땅채송화 / 말똥비름 / 바위채송화 / 섬기린초 / 속리기린초 / 애기기린초 / 주걱비름 / 태백기린초 / 가지기린초 ○ 분포|자생지 한국 | 강원도 금대봉, 태백산, 두타산, 함백산 등지에서 드물게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모여나고 비스듬히 서며 높이는 20cm가량이다. 잎 마주나거.. 2015. 2. 16.
134.돌나물과(Cercidiphyllaceae) 134.돌나물과(Cercidiphyll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범의귀상목 범의귀목(Saxifragales) 134 돌나물과(Crassulaceae) 꿩의비름속(Hylotelephium) 꿩의비름 둥근잎꿩의비름 새끼꿩의비름 섬꿩의비름 세잎꿩의비름 자주꿩의비름 큰꿩의비름 키큰꿩의비름 낙지다리속(Penthorum) 낙지다리 (1) 난쟁이바위솔속(Meterostachys) 난쟁이바위솔 (1) 대구돌나물속(Tillaea) 대구돌나물 돌꽃속(Rhodiola) 바위돌꽃 가지돌꽃 돌꽃 좁은잎돌꽃 돌나물속(Sedum) 가는기린초 갯돌나물 기린초 넓은잎기린초 돌나물 (1) 돌채송화 둥근잎비름 땅채송화 (1) (2) 말똥비름 멕시코돌나물 .. 2015. 2. 16.
큰꿩의다리(1) 큰꿩의다리(1) | 좀꿩의다리, 긴꼭지좀꿩의다리, 긴꼭지꿩의다리, 성긴좀꿩의다리, 틈벨구꿩의다리, 다닥좀꿩의다리, 큰키꿩의다리, 흰좀꿩의다리, 무늬좀꿩의다리, 좀가락풀 Keun-kkwong-ui-da-ri Thalictrum minus L., 1753. 원기재명 Thalictrum amplissimum H. Lév. & Vaniot, 1902. ○ 국명의 정보 큰꿩의다리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큰 + 꿩의다리", 큰꿩의다리라는 이름은 꿩의다리에 비해서 식물체가 크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에서 전통 명칭 꿩의다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체의 형태적 특징에 착안한 큰을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2015. 2. 15.
흰좀바위솔 흰좀바위솔 Hin-jom-ba-wi-sol Orostachys minuta (Kom.) A. Berger ○ 국명정보 흰좀바위솔 :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국명의 유래 "흰 + 좀 + 바위솔", 흰좀바위솔이라는 이름은 좀바위솔을 닮았으되 흰색의 꽃이 피는 좀바위솔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osales 장미목 > Crassulaceae 돌나물과 > Orostachys 바위솔속 가지바위솔 / 갈미바위솔 / 둥근바위솔 / 모란바위솔 / 바위솔 / 애기바위솔 / 연화바위솔 / 잎새바위솔 / 정선바위솔 / 좀바위솔 / 진주바위솔 / 포천바위솔 / 다북바위솔 / 울릉연화바위솔 / 흰좀바위솔 ○ 분포|자생지 .. 2015. 2. 15.
속리기린초 속리기린초 Sedum zokuriense Nakai 한국고유종 ○ 국명정보 속리기린초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속리 + 기린초", 속리기린초라는 이름은 자생지 속리산에 나는 기린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돌나물속(Sedum) 가는기린초 / 갯돌나물 / 기린초 / 돌나물 / 땅채송화 / 말똥비름 / 바위채송화 / 섬기린초 / 속리기린초 / 애기기린초 / 주걱비름 / 태백기린초 / 가지기린초 ○ 분포|자생지 한국 | 충북 속리산, 군자산, 제주도, 전남 추자도의 산지에서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10~20cm 정도이며 뿌리줄기에서 총생한다. 잎 어긋나거나 마주나며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주걱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2015. 2. 14.
기린초 기린초 | 麒麟草, 넓은잎기린초, 각시기린초 Gi-rin-cho Sedum kamtschaticum Fisch. & C. A. Mey. ○ 국명정보 기린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기린초라는 이름은 한자어 麒麟草에서 유래한 것으로, 두꺼운 잎과 노랗게 피는 꽃 모양이 상상 속 동물인 기린 또는 그 뿔을 닮았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옛 문헌에서 발견되는 식물명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돌나물속(Sedum) 가는기린초 / 갯돌나물 / 기린초 / 돌나물 / 땅채송화 / 말똥비름 / 바위채송화 / 섬기린초 / 속리기린초 / 애기기린초 / 주걱비름 / 태백기린초 / 가지기린초 ○ 분포|자.. 2015. 2. 14.
129.계수나무과(Cercidiphyllaceae) 129.계수나무과(Cercidiphyll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범의귀상목 범의귀목(Saxifragales) 129 계수나무과(Cercidiphyllaceae) 계수나무속(Cercidiphyllum) 계수나무 ※개요 및 분포 속명의 유래[편집]속명 Cercidiphyllum은 박태기나무(속명 Cercis)와 잎 모양이 아주 비슷해서 붙인 것이다. 박태기나무의 잎은 어긋 나고, 계수나무의 잎은 마주 나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계수나무(桂樹-)는 계수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동아시아의 중국과 일본이 원산지이다.관상수로 심으며, 목재를 바둑판으로도 쓴다. 계피는 녹나무속(Cinnamomum) 나무.. 2015. 2. 14.
계수나무 계수나무 | 桂樹- Gye-su-na-mu Cercidiphyllum japonicum Siebold & Zucc. ※속명 Cercidiphyllum은 박태기나무(속명 Cercis)와 잎 모양이 아주 비슷해서 붙인 것이다. ○ 국명의 유래 한국과 일본에는 달에 계수나무가 자란다는 설화가 있다. 이는 중국의 목서에 대한 전설이 넘어온 것인데, 중국에서는 목서를 ‘계수(桂樹)’라 부르기 때문에 혼동이 된 것이다. ○ 분류 계수나무과(Cercidiphyllaceae) 계수나무속(Cercidiphyllum) 계수나무 ○ 분포|자생지 중국(중남부), 일본 원산 | 전국에서 공원수 및 조경수로 심어 기른다. ○ 형태 수형 낙엽 교목이고, 높이 30m, 지름 2m 정도까지 자란다. 수피 흑회색이고 세로로 거칠게 갈라.. 2015. 2. 14.
121.회양목과(Buxaceae) 121.회양목과(Bux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회양목상목 회양목목(Buxales) 121 회양목과 (Buxaceae) 회양목속(Buxus) 긴잎회양목(비합법명) 회양목 (1) 섬회양목(비합법명) 좀회양목 수호초속(Pachysandra) 무늬수호초 수호초 ※개요 및 분포 회양목과는 4~5개 속에 90~120여 종을 포함하고 있는 작은 속씨식물 과이다. 이 종들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관목과 작은 나무들이다. 다섯 번째 속은 과거에 Notobuxus속이었던 것으로, 발생학적 연구(Balthazar et al., 2000년)를 통해 회양목속에 포함시키고 있다. 대부분의 분류학자들이 이 과를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2015. 2. 13.
수호초 수호초 Su-ho-cho Pachysandra terminalis Siebold & Zucc. 재배식물 ○ 분류 회양목과(Buxaceae) 수호초속(Pachysandra) 수호초 ○ 분포|자생지 일본 원산, 중국, 한국 등 식재 | 전국의 공원, 정원에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자생지에서는 숲 속의 그늘지고 습한 곳에 자란다. ○ 형태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30cm쯤이며, 약간 굵다. 줄기 아래쪽 일부는 뿌리줄기처럼 되며, 옆으로 기며 자라다가 곧게 서고, 잔털이 있다가 없어진다. 잎 잎자루는 1~3cm다. 잎은 4~6개가 층으로 모여 달리며, 층 간격은 2~4cm다. 잎몸은 사각상 도란형으로 길이 2.5~5cm, 폭 1.5~3.0cm, 윗부분에 톱니가 약간 있으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으로 된다.. 2015. 2. 13.
117.버즘나무과(Platanaceae) 117.버즘나무과(Platan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프로테아상목 프로테아목 (Proteales) 117 버즘나무과(Platanaceae) 버즘나무속(Platanus) 버즘나무 양버즘나무 단풍버즘나무 캘리포니아버즘나무 ※개요 및 분포 버즘나무과는 프로테아목의 과이다. 조록나무목에 있었지만 유전자 연구 결과에 의해 프로테아목에 속하게 되었다. 하위분류는 버즘나무속(Platanus) 하나밖에 없으며, 버즘나무속 나무, 특히 양버즘나무를 플라타너스라 부른다. 버즘나무과에 속하는 종은 다음과 같다. 단풍버즘나무(Platanus × hispanica, P. occidentalis × P. orientalis 또는 P. × ace.. 2015. 2. 11.
양버즘나무 양버즘나무 | 양방울나무, 플라타너스, 홑방울나무(북한명) Yang-beo-jeum-na-mu Platanus occidentalis L. 재배식물 ○ 국명정보 양버즘나무 :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국명의 유래 "양 + 버즘나무" 양(洋)은 서양을 가리키는 말이어서 양버즘나무만 서양에서 들어온 나무이고, 버즘나무는 본래 있던 나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둘 모두 서양에서 들어왔다. 양버즘나무는 잎이 얕게 갈라지고 열매도 1개씩 달린다. 반면 버즘나무는 잎이 깊게 갈라지고 열매도 2-3개씩 달린다. 우리 주변의 버즘나무는 대부분 양버즘나무이다. 참고 : 박상진 (2019),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버즘나무과(Platanaceae) 버즘나무.. 2015. 2. 11.
버즘나무 버즘나무 | 방울나무(북한명), 풀라탄나무, 버짐나무, 푸라타나무 Beo-jeum-na-mu Platanus orientalis L. 재배식물 ○ 국명정보 버즘나무 :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풀라탄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버즘 + 나무" 버즘나무란 이름은 에 따른 것으로, 나무껍질의 큰 조각이 떨어진 부분이 암회색 또는 회백색을 띠어 마치 피부에 버즘이 핀 것처럼 보인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버즘은 버짐의 강원도, 제주도 등지의 방언인데 식물명에 사용하고 있다. 국내에 식재된 종은 양버즘나무이고 버즘나무는 국내에 자생하지 않으며 식재 여부도 불분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버즘.. 2015. 2. 11.
116.연꽃과(Nelumbonaceae) 116.연꽃과(Nelumbon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프로테아상목 프로테아목 (Proteales) 116 연꽃과(Nelumbonaceae) 연꽃속(Nelumbo) 연꽃 (1) (2) (3) ※개요 및 분포 연꽃과(Nelumbonaceae)는 프로테아목의 한 과로 연꽃속(Nelumbo)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 연꽃속은 전통적으로 수련과의 한 속으로 분류했었으나, 진화상으로 다른 계통임이 밝혀져 따로 분류한다.(위키백과) 2015. 2. 11.
115.나도밤나무과(Sabiaceae) 115.나도밤나무과(Sabi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프로테아상목 나도밤나무목(Sabiales) 115 나도밤나무과(Sabiaceae) 나도밤나무속(Meliosma) 나도밤나무 합다리나무 (1) (2) ※개요 및 분포 나도밤나무과는 식물 체계 분류에서 쌍떡잎식물강에 속하는 목(目)이다. 남아시아와 아메리카의 온대와 열대 지역에서 주로 자생한다. 크론키스트 체계에서는 미나리아재비목(Ranunculales)의 하위 과로 분류하였지만, 최근의 분류 체계(APG II 체계)에서는 나도밤나무목에 속하는 유일한 과로 분류하고 있다. 과는 3개의 속과 약 160개 종이 포함되어 있다. (위키백과) 2015.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