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리기린초
Sedum zokuriense Nakai
한국고유종
○ 국명정보
속리기린초 : 박만규 <우리나라 식물명감>(1949)
○ 국명의 유래
"속리 + 기린초", 속리기린초라는 이름은 자생지 속리산에 나는 기린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돌나물속(Sedum)
가는기린초 / 갯돌나물 / 기린초 / 돌나물 / 땅채송화 / 말똥비름 / 바위채송화 / 섬기린초 / 속리기린초 / 애기기린초 / 주걱비름 / 태백기린초 / 가지기린초
○ 분포|자생지
한국 | 충북 속리산, 군자산, 제주도, 전남 추자도의 산지에서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10~20cm 정도이며 뿌리줄기에서 총생한다.
잎 어긋나거나 마주나며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주걱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 2~3mm이며 밑으로 갈수록 작아져 비늘잎 같이 된다.
꽃 6~7월에 피고 황색이며 원줄기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 조각과 피침형의 꽃잎은 5개씩이고 수술은 10개, 암술은 3~5개다.
열매 골돌로 3~5개이며 길이 2mm 정도이다.
○ 동정 포인트
1. 땅위에 나온 근두부가 굵어지지 않는다.
2. 줄기는 1-2개씩 나오며 갈라지지 않는다.-----------------가는기린초
2. 줄기는 총생하며 때로는 가지가 갈라진다.-----------------기린초
1. 밖에 노출된 근두부가 굵어진다.--------------------------속리기린초
○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검색표>
○ 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