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407

174.담팔수과(Elaeocarpaceae) 174.담팔수과(Elaeocarp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분류군6 분류군7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군 장미상군 콩군 괭이밥목 (Oxalidales) 174 담팔수과(Elaeocarpaceae) 담팔수속(Elaeocarpus) 담팔수 ※개요 담팔수과는 괭이밥목에 속하는 속씨식물 과이다. ※분포 열대와 난대, 온대, 특히 남반구에 약 12속 605종, 한국에는 1속 1변종이 있다. ※특징 상록교목이며, 잎은 홑잎으로 거의 어긋나며 턱잎이 있다. 꽃은 대개 양성화로 방사상칭이다. 꽃받침은 겹치지 않게 배열하며 밑이 떨어져 있거나 붙는다. 꽃잎은 떨어져 있고, 드물게 밑이 붙으며, 흔히 깊게 톱니가 있고, 겹쳐지지 않.. 2015. 2. 21.
172.노박덩굴과(Celastraceae) 172.노박덩굴과(Celastr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분류군6 분류군7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군 장미상목 콩군 노박덩굴목(Celastrales) 172 노박덩굴과(Celastraceae) 노박덩굴속(Celastrus) 푼지나무 해변노박덩굴 덤불노박덩굴 털노박덩굴 개노박덩굴 노박덩굴 화살나무속(Euonymus) 화살나무 당회잎나무 회잎나무 털화살나무 좀참빗살나무 섬회나무 좀사철나무 줄사철나무 (1) (2) 좁은잎참빗살나무 (1) 버들회나무 참빗살나무(꽃) (열매) 뾰족잎사철나무 사철나무 (1) 나래회목나무 나래회나무 참회나무 회목나무 (1) 회나무 둥근잎참빗살나무 물매화속(Parnassia) 애기물매화 물매화.. 2015. 2. 21.
회목나무(1) 회목나무(1) | 실회나무, 개회나무, 개개회나무 Hoe-mok-na-mu Euonymus verrucosus Scop. ○ 국명정보 회목나무 : 조선박물연구회 (1943) 실회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회목 + 나무", 회목나무라는 이름은 정확한 뜻이나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회목이 발목이 손목의 잘록한 부분을 뜻하므로 기늘고 긴 모양의 꽃자루를 회목에 비유한 것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함북 방언에서 채록한 것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노박덩굴과(Celastraceae) 화살나무속(Euonymus) 나래회나무 / 둥근잎참빗살나무 / 버들회나무 / 사철나무 / 섬회나무 / 좀사철나무 / 좀.. 2015. 2. 21.
사철나무(1) 사철나무(1) | 들쭉나무, 개동굴나무, 겨우사리나무, 긴잎사철나무, 넓은잎사철나무, 동청목, 들축나무, 무룬나무, 무른사철나무, 푸른나무, 冬靑 Sa-cheol-na-mu Euonymus japonicus Thunb. ○ 국명정보 사철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들쭉나무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사철 + 나무", 사계절 내내 늘 푸른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주요 자생지인 전라남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옛 문헌에서는 冬靑으로 기록했다. 이는 현재의 사철나무, 겨우살이, 광나무, 감탕나무 등을 통칭한 것이어서 개별 문헌을 해석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줄사철나무는 줄로 뻗는 사철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박상진 (2019), 참고 .. 2015. 2. 21.
142.남가새과(Zygophyllaceae) 142.남가새과(Zygophyll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분류군6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군 콩군 장미상목 남가새목(Zygophyllales) 142 남가새과(Zygophyllaceae) 남가새속(Tribulus) 남가새 ※개요, 분포, 특징 남가새과는 속씨식물의 과로 약 250종의 식물을 포함하고 있다. 속씨식물 계통분류 그룹(AGP II)에 의하면, 남가새과는 목으로 따로 분류하지 않지만 몇몇의 목들과 함께 식물군을 구성하여, 자매그룹으로써 진정장미군 I에 포함된다. 남가새목의 하위 과로 분류될 수도 있다.(위키백과) ※우리나라에는 남가새속 남가새 1종이 남쪽 해안가 모래땅에 분포한다. 2015. 2. 21.
140.포도과(Vitaceae) 140.포도과(Vit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군 장미상목 포도목 (Vitales) 140 포도과 (Vitaceae) 개머루속 (Ampelopsis) 개머루 (1) 자주개머루 가회톱 털개머루 가새잎개머루 거지덩굴속 (Cayratia) 거지덩굴 담쟁이덩굴속(Parthenocissus) 담쟁이덩굴 미국담쟁이덩굴 포도속 (Vitis) 포도 왕머루 (1) 머루 (1) 섬머루 까마귀머루 (1) 새머루 청까마귀머루 ※개요 포도과는 쌍떡잎식물에 속하는 속씨식물의 과이다. 포도와 미국담쟁이덩굴 등을 포함한다. 포도과의 유연 관계들은 명확하지 않고, 그 과는 어떤 밀접한 관계를 보이지 않는다. ※.. 2015. 2. 21.
가새잎개머루(1) 가새잎개머루(1) | 개머루 Ga-sae-ip-gae-meo-ru Ampelopsis brevipedunculata f. citrulloides Rehder ○ 국명정보 가새잎개머루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 "가새잎 + 머루", 가새잎머루라는 이름은 개머루를 닮았으나 개머루에 비해 잎이 5개로 깊게 갈라지는 특징에서 붙여졌다. ○ 분류 포도과(Vitaceae) 개머루속(Ampelopsis) 가새잎개머루 / 가회톱 / 자주개머루 / 털개머루 / 개머루 ○ 분포|자생지 중국 만주, 일본, 한국, 타이완, 러시아 우수리, 사할린 | 전국의 계곡 근처, 물가 등에서 자란다. ○ 형태 수형 낙엽 활엽 덩굴성 나무. 길게 뻗으며 자란다. 수피 갈색이고 마디는 종종 비후한다. 잎 어긋나고 둥글며 길.. 2015. 2. 21.
133.범의귀과(Saxifragaceae) 133.범의귀과(Saxifrag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범의귀상목 범의귀목(Saxifragales) 133 범의귀과(Saxifragaceae) 노루오줌속 Astilbe 숙은노루오줌 노루오줌 (1) 진퍼리노루오줌 한라노루오줌 외잎승마 흰숙은노루오줌 개병풍속 Astilboides 개병풍 (1) 돌부채속 Bergenia 돌부채 괭이눈속 Chrysosplenium 오대산괭이눈 누른괭이눈 산괭이눈 털괭이눈 가지괭이눈 바위괭이눈 흰괭이눈(=흰털괭이눈) 괭이눈 선괭이눈 천마괭이눈 애기괭이눈 (1) (2) 나도범의귀속 Mitella 나도범의귀 (1) 돌단풍속 Mukdenia 돌부채손 돌단풍 큰돌단풍 도깨비부채속 Rodgers.. 2015. 2. 20.
누른괭이눈 누른괭이눈 | 북괭이눈 Nu-reun-gwaeng-i-nun 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 한반도고유종 ○ 국명정보 박만규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누른 + 괭이눈", 누른괭이눈이라는 이름은 누른빛이 도는 의 뜻을 가진 종소명 'flaviflorum'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괭이눈속(Chrysosplenium) 가지괭이눈 / 누른괭이눈 / 산괭이눈 / 선괭이눈 / 애기괭이눈 / 제주괭이눈 / 흰괭이눈(흰털괭이눈) / 금괭이눈 / 시베리아괭이눈 / 큰괭이눈 ○ 분포|자생지 한국 | 한반도 중부 이북의 산지에 자란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전체에 털이 많고 꽃대의 기부에서 양쪽으로 뻗는 무성지가 발달한다. 잎 꽃대에서.. 2015. 2. 20.
흰숙은노루오줌 흰숙은노루오줌 | 흰이끈노루오줌 Suk-eun-no-ru-o-jum Astilbe koreana f. albiflora Y.N.Lee 한반도고유종 ○ 국명 정보 흰숙은노루오줌 :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국명 유래 "흰 + 숙은노루오줌" 흰숙은노루오줌이라는 이름은 흰색 꽃이 피는 숙은노루오줌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osales 장미목 > Saxifragaceae 범의귀과 > Astilbe 노루오줌속 노루오줌 Astilbe chinensis (Maxim.) Franch. & Sav. 숙은노루오줌 Astilbe koreana (Kom.) Nakai 외잎승마 Astilbe simplicifolia Ma.. 2015. 2. 20.
137.낙지다리과 (Penthoraceae) 137.낙지다리과 (Penthor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범의귀상목 범의귀목(Saxifragales) 137 낙지다리과 (Penthoraceae) 낙지다리속 (Penthorum) 낙지다리 (1) ※개요, 분포, 특징 낙지다리속은 범의귀목에 속하는 낙지다리.. 2015. 2. 20.
백작약(1) 백작약(1) | 白芍藥, 白芍, 산작약 Baek-jak-yak Paeonia japonica Miyabe & Takeda 백작약 원본 https://ihogyun.tistory.com/2762877 ○ 국명정보 백작약 :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 국명의 유래 "백 + 작약", 백작약이라는 이름은 작약을 닮았으나 색깔이 흰 꽃이 피는 작약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체계 작약과(Paeoniaceae) 작약속(Paeonia) 모란 / 백작약 / 털백작약 / 산작약 / 작약 / 참작약 / 호작약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사할린), 일본, 한국 | 전국의 깊은 산 속의 나무 밑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뿌리 굵고 육질이며 밑부분이 비늘 같은 잎으로 싸여 있다. 줄기 곧게 서.. 2015. 2. 20.
126.작약과(Paeoniaceae) 126.작약과(Paeoni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범의귀상목 범의귀목(Saxifragales) 126 작약과(Paeoniaceae) 작약속(Paeonia) 참작약 산작약 백작약 (1) 작약 민참작약 털백작약 민산작약 호작약 모란 ※개요, 분포, 특징 작약속(Paeonia)은 범의귀목에 속하는 속씨식물 속의 하나이다. 작약과(Paeoniaceae)의 유일속이다. 이 속에 속한 종들은 아시아와 남부 유럽 그리고 서부 북아메리카에서 자생한다. 종들 사이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지만, 25여 종 내지 40여 종 으로 추산하고 있다.(위키백과) 2015. 2. 20.
산작약 산작약 | 山芍藥, 백작약/함박꽃, 민산작약, 적작약, 산함박꽃 San-jak-yak Paeonia obovata Maxim., 1859. | 원기재명 Paeonia obovata var. glabra Makino, 1928.(민산작약) ※환경부법정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 ○ 국명정보 산작약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산 + 작약", 산작약이라는 이름은 한자어 山芍藥에서 유래한 것으로, 산에서 자라는 작약이라는 뜻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체계 작약과(Paeoniaceae) 작약속(Paeonia) 모란 / 백작약 / 털백작약 / 산작약 / 작약 / 참작약 / 호작약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동북부), 일본,.. 2015. 2. 20.
참작약 참작약 | 참함박꽃 Cham-jak-jak Paeonia lactiflora Pall. var. trichocarpa (Bunge) Stern ○ 국명정보 참작약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참 + 작약", 참작약이라는 이름은 한국의 진짜(眞) 작약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실제로 작약(P. lactiflora Pall. var. lactiflora)에 비해서 씨방과 열매의 표면에 연한 털이 있어 작약과는 다른 특징이 있다. ○ 분류체계 작약과(Paeoniaceae) 작약속(Paeonia) 모란 / 백작약 / 털백작약 / 산작약 / 작약 / 참작약 / 호작약 ○ 분포|자생지 중국(동북부), 한국 | 경북, 경기, 강원 등의 산지에 나며, 민가에서 재배한다. ○ 형태 생육형 여.. 2015. 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