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096

난장이바위솔(1) 난쟁이바위솔(1) | 난장이바위솔, 돌바위솔 Nan-jaeng-i-ba-wi-sol Meterostachys sikokianus (Makino) Nakai ○ 국명정보 난쟁이바위솔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난쟁이 + 바위솔", 난쟁이바위솔이라는 이름은 키가 난쟁이처럼 작은 바위솔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난쟁이바위솔속(Meterostachys) 난쟁이바위솔 ○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 중부(강원) 이남의 깊은 산 바위 겉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근경은 짧고 굵으며 선단에서 많은 잎과 줄기가 총생하고 높이 2~10㎝이다. 잎 선형으로 다소 편.. 2014. 12. 14.
큰꿩의비름 큰꿩의비름 | 장약경천, 영문명 Showy stonecrop Keun-kkweong-ui-bi-reum Hylotelephium spectabile (Boreau) H. Ohba ○ 국명의 유래 큰꿩의비름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큰 + 꿩의비름", 큰꿩의비름이라는 이름은 꿩의비름 종류 중에서 식물체가 크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꿩의비름이라는 이름은 꽃이 피어 있는 모습이 꿩을 연상시키고 (쇠)비름을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꿩의비름속(Hylotelephium) 꿩의비름 / 둥근잎꿩의비름 / 새끼꿩의비름 / 섬꿩의비름 / 세잎꿩의비름 / 자.. 2014. 12. 14.
꿩의비름 꿩의비름 | 景天/섬나물, 경천초, 신화초 Kkwong-ui-bi-reum Hylotelephium erythrostictum (Miq.) H. Ohba ○ 국명정보 꿩의비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꿩의 + 비름", 꿩의비름이라는 이름은 꽃이 피어 있는 모습이 꿩을 연상시키고 (쇠)비름을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꿩의비름속(Hylotelephium) 꿩의비름 / 둥근잎꿩의비름 / 새끼꿩의비름 / 섬꿩의비름 / 세잎꿩의비름 / 자주꿩의비름 / 큰꿩의비름 / 키큰꿩의비름 ○ 분포|자생지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 전국의 산과 들의 풀밭에 자란다. ○ 형.. 2014. 12. 14.
세잎꿩의비름 세잎꿩의비름 | 제주꿩의비름 Se-ip-kkwong-ui-bi-reum Hylotelephium verticillatum (L.) H. Ohba, 1977. | 학명이명 Sedum verticillatum L., 1753. ○ 국명정보 새끼꿩의비름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싹눈꿩의비름 :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국명의 유래 "새끼 + 꿩의비름" 새끼꿩의비름이라는 이름은 살눈(새끼)이 있는 꿩의비름이라는 뜻이며 학명의 종소명 'viviparum(살눈이 있는)'에서 유래했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 꿩의비름을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새끼를 추가해서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2014. 12. 14.
새끼꿩의비름 새끼꿩의비름 | 싹눈꿩의비름, 바위채송화 Sae-kki-kkweong-ui-bi-reum Hylotelephium viviparum (Maxim.) H. Ohba, 1977. | 원기재명 Sedum viviparum Maxim., 1883. ○ 국명정보 새끼꿩의비름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싹눈꿩의비름 :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국명의 유래 "새끼 + 꿩의비름" 새끼꿩의비름이라는 이름은 살눈(새끼)이 있는 꿩의비름이라는 뜻이며 학명의 종소명 'viviparum(살눈이 있는)'에서 유래했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 꿩의비름을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새끼를 추가해서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 2014. 12. 14.
생달나무(2) 생달나무 | ㅅ·ㅣㅇ달무/신신무, 생대나무(전남), 다가기낭/사당낭(제주) Saeng-dal-na-mu Cinnamomum japonicum Siebold ○ 국명정보 생달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생달 + 나무", 생달나무라는 이름은 전남 방언에서 유래한 것으로, 옛 문헌에 한자명 생달(栍橽)로 기록된 바 있다. 한자명 생달(栍橽)은 잎이 종이쪽처럼 좁고 가늘며 박달나무를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녹나무과(Lauraceae) 녹나무속(Cinnamomum) 녹나무 / 생달나무 / 육계나무 / 둥근잎녹나무 ○ 분포|자생지 중국(남부 지역), 일본(혼슈 이남), 타이완, 한.. 2014. 12. 13.
흰털새 흰털새 | 수수새, 우단풀 Hin-teol-sae Holcus lanatus L. 외래식물 ○ 국명정보 흰털새 : 이우철 (1996) ○ 국명의 유래 "흰 + 털새", 흰털새라는 이름은 식물체 전체에 흰 연모가 융단처럼 밀생하는 특징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흰털새속(Holcus) 흰털새 ○ 분포|자생지 유럽 원산 | 아프리카, 아시아, 호주, 북아메리카, 한국 귀화 | 전북(남원),서울, 제주도 등지에 야생화된 상태로 들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20-70cm, 식물체 전체에 백색의 짧은털이 밀생한다. 잎 잎새는 길이 4-20cm, 엽초는 절간보다 짧으며 엽설은 높이 1-4mm이다. 꽃 6-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3-20cm, 폭 1-8cm로 녹백색 때로는 적.. 2014. 12. 13.
눈범꼬리 눈범꼬리 | 제주범꼬리풀, 제주범꼬리(북한명) Nun-beom-kko-ri Bistorta suffulta (Maxim.) H. Gross ○ 국명정보 눈범꼬리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눈 + 범꼬리", 라는 이름은 줄기가 다소 누워서 자라는 범꼬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마디풀과(Polygonaceae) 범꼬리속(Bistorta) 눈범꼬리 / 둥근범꼬리 / 범꼬리 / 씨범꼬리 / 이른범꼬리 / 호범꼬리 / 가는범꼬리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제주도 한라산 산지 숲 속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20-40cm쯤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가지는 갈라지지 않는다. 잎 뿌리잎은 모여 나며, 긴 잎자루가 있고, 난형 길이 5-10cm, 폭.. 2014. 12. 13.
통탈목 통탈목 | 등칡, 통초 Tong-tal-mok Tetrapanax papyriferus (Hook.) K. Koch | 원기재명 Aralia papyrifera Hook. 재배식물 ○ 국명정보 통탈목 :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국명의 유래 통탈목(通脫木)은 중국명을 그대로 들여온 이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통탈목의 여러 가지 약효 중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이뇨 효과에 주목하여 '시원하게(脫) 잘 통하는(通) 나무(木)'라는 뜻에서 통탈목이 된 것으로 짐작된다. 참고 : 박상진 (2019) ○ 국명의 유래 중국명인 通脫木을 그대로 차용한 것이다. ○ 분류 두릅나무과(Araliaceae) 통탈목속(Tetrapanax) 통탈목 ○ 분포|자생지 타이완 원산 | 제주도의 민가에서 재배하던 것이 퍼져.. 2014. 12. 13.
황칠나무 황칠나무 | 黃漆, Korean dendropanax Hwang-chil-na-mu Dendropanax trifidus (Thunb.) Makino ex H. Hara ○ 국명정보 황칠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 국명의 유래 "황칠 + 나무", 친숙한 적갈색 옻칠 이외에 황금빛을 내는 황칠이 있다. 황금으로 도금한 것 같다고 하여 금칠이라고도 한다. 이 나무의 수액인 진으로 황칠을 할 수 있는 나무라 하여 황칠나무라는 이름이 명명되었다. 참고 : 박상진 (2019) ○ 분류 두릅나무과(Araliaceae) 황칠나무속(Dendropanax) 황칠나무 ○ 분포|자생지 일본(혼슈 이남), 타이완, 한국 | 전남북의 도서지방 해변, 제주도의 산지 숲 속에 자란다. ○ 형태 수형 상.. 2014. 12. 13.
식나무(1) 식나무(1) | 넓적나무, 넙적나무, 청목 Sik-na-mu Aucuba japonica Thunb. ○ 다른 국명 청목(가지와 잎이 사시사철 푸르러 靑木이라 부르기도 한다.) ○ 분류 식나무과(Aucubaceae) 식나무속(Aucuba) 식나무 / 금식나무 ○ 분포|자생지 중국(저장성), 일본(홋카이도 남부 이남), 타이완, 한국 | 경북(울릉도),.. 2014. 12. 13.
비자란 비자란 | 榧子蘭 Bi-ja-ran Thrixspermum japonicum Rchb. f. ○ 국명 정보 비자란 :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국명의 유래 "비자 + 란", 비자란이라는 이름은 비자나무에 착생하는 난초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난초과(Orchidaceae) 보춘화속(Cymbidium) 비자란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제주도 상록수림의 나무에 착생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상록성, 착생란 뿌리 기근으로 줄기 중간에서 길게 나온다. 줄기 비스듬하며, 아래로 처지고, 길이 2-13cm, 가늘며 마디가 많다. 잎 2줄로 나며 2-20장, 긴 타원형 또는 긴 피침형, 길이 2-6cm, 너비 4-7mm 또는 더 넓으며, 끝이 약간 뾰족하고 밑부분이 .. 2014. 12. 13.
매화노루발 매화노루발 | 매화노루발풀 Mae-hwa-no-ru-bal Chimaphila japonica Miq. ○ 국명정보 매화노루발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매화 + 노루발", 매화노루발이라는 이름은 꽃의 모양은 매화를 닮고, 잎맥은 노루발과 비슷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노루발과(Pyrolaceae) 매화노루발속(Chimaphila) 매화노루발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사할린), 부탄, 일본, 한국 | 전국의 숲 속에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 옆으로 벋거나 기며 지름 0.5-1.0mm이다. 줄기 땅 위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5-15cm, 지름 0.5-2mm다. 잎 어긋나며 2-3개씩 모여달리고, 잎자루는 길이 3-10mm로 털이 없.. 2014. 12. 12.
노루발 노루발 | 노루발풀 No-ru-bal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 분류 노루발과(Pyrolaceae) 노루발속(Pyrola) 새끼노루발 / 콩팥노루발 / 노루발 / 홀잎노루발 / 애기노루발 / 주걱노루발 / 분홍노루발 / 호노루발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타이완 | 전국 건조한 숲 속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 2014. 12. 12.
미국까마중(1) 미국까마중(1) | Mi-guk-kka-ma-jung Solanum americanum Mill. 귀화식물 ○ 국명정보 미국까마중 : 박수현 (1995) ○ 국명의 유래 "미국 + 까마중", 미국까마중이라는 이름은 원산지가 아메리카(미국) 지역에서 유입된 귀화종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가지과(Solanaceae) 배풍등속(Solanum) 가시가지 / 감자 / 까마중 / 도깨비가시가지 / 둥근가시가지 / 미국까마중 / 배풍등 / 왕배풍등 / 좁은잎배풍등 / 털까마중 / 토마토 / 노랑까마중 ○ 분포|자생지 북아메리카 원산 | 전국 밭이나 길가에 흔히 자란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곧추서고 높이 20-90cm이며, 털이 없다. 잎 어긋나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2-4cm, 폭 1.0-.. 2014.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