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407

189.여우주머니과(Phyllanthaceae) 189.여우주머니과(Phyllanth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분류군6 분류군7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군 장미상군 콩군 말피기목(Malpighiales) 189 여우주머니과(Phyllanthaceae) 여우주머니속(Phyllanthus) 여우구슬 여우주머니 ※개요, 분포, 특징 여우주머니과(표준어: 여우주머닛과)는 말피기목에 속하는 과이다. 예전에는 대극과 밑의 여우주머니아과로 분류하였으나, 계통 분석 결과 여우주머니과로 분리하였다. 56속 1725종을 거느린다. 나무도 있고 풀도 있으며, 주로 열대 지방에 분포한다.(위키백과) ※기존의 크롱키스트, 엥글러 분류시스템에서는 대극과로 분류되었다. 2015. 2. 22.
199.시계꽃과(Passifloraceae) 199.시계꽃과(Passiflor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분류군6 분류군7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군 장미상군 콩군 말피기목(Malpighiales) 199 시계꽃과(Passifloraceae) 시계꽃속(Passiflora) 시계꽃 Passiflora foetida ※개요, 분포, 특징 시계꽃과는 말피기목에 속하는 속씨식물 과의 하나이다. 18개 속, 530여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위키백과) ※위키백과에서는 시계꽃과 > 시계꽃아과 > 시계꽃족 > 시계꽃속으로 분류하고 있다. 2015. 2. 22.
208.아마과(Linaceae) 208.아마과(Lin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분류군6 분류군7 NO. 과 아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군 장미상군 콩군 말피기목(Malpighiales) 208 아마과(Linaceae) 아마아과(Linoideae) 아마속 (Linum) 노랑개아마 개아마 아마(재배식물) ※개요 아마과는 말피기목의 하위 과이다. ※분포 전 세계의 온대에 널리 분포하는 초본 또는 작은 관목이다. 주로 온대에 6속 150종, 한국에 1속 1종이 있다. ※특징 잎은 가장자리가 매끈한 흩잎으로 어긋나는데, 때로는 마주나는 것도 있다. 꼴은 방사대칭인 양성화로,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각각의 꽃들은 5개의 꽃잎을 가진다. 한편, 수술은 5개 또는 10.. 2015. 2. 22.
214.물레나물과(Hypericaceae) 214.물레나물과(Hyperic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분류군6 분류군7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군 장미상군 콩군 말피기목(Malpighiales) 214 물레나물과(Hypericaceae) 물레나물속(Hypericum) 물레나물 (1) 채고추나물 큰고추나물(비합법명) 고추나물 다북고추나물 애기고추나물 좀고추나물 진주고추나물 서양고추나물(귀화식물) 갈퀴망종화(재배) 망종화(재배) 물고추나물속(Triadenum) 물고추나물 흰꽃물고추나물 ※개요 물레나물과는 말피기목의 하위 과이다. 학자에 따라서는 클루시아과의 아과로 보기도 한다. ※분포 주로 열대 지방에 분포하며 45속 650종가량이 알려져 있는데, 온대에는 몇.. 2015. 2. 22.
물고추나물 물고추나물 | 가는잎고추나물, 물레나물아재비 Mul-go-chu-na-mul Triadenum japonicum (Blume) Makino ○ 국명정보 물고추나물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물 + 고추나물", 물고추나물이라는 이름은 고추나물을 닮았으나 습지(물)에서 자라는 고추나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물레나물과 (Hypericaceae) 고추나물속 (Triadenum) 물고추나물 / 흰꽃물고추나물 ○ 분포|자생지 중국(동북부), 러시아(극동), 일본, 한국 | 전국 물가, 습지 등에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 가늘고 길게 벋는다. 줄기 곧추서며, 높이 50~100cm이다. 잎 마주나며, 긴 타원형 또는 긴 난형, 길이 3~7cm, 폭 1~3.. 2015. 2. 22.
184.대극과(Euphorbiaceae) 184.대극과(Euphorbi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분류군6 분류군7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군 장미상목 콩군 말피기목(Malpighiales) 184 대극과(Euphorbiaceae) 깨풀속(Acalypha) 깨풀 유동속(Aleurites) 유동 대극속(Euphorbia) 붉은대극(민대극) (1) 풍도대극 흰대극 (1) (2) 두메대극 등대풀 땅빈대 털땅빈대 암대극 제주대극 대극 (1) (2) (3) 개감수 꽃 (1) (2) 단주대극 평양대극 백두산대극 참대극 민참대극 낭독 목포대극(비합법명) 설악대극 지리대극 설악초(재배식물) 꽃기린(재배식물) 포인세티아(재배식물) 톱니대극(귀화식물) 누운땅빈대(귀화식물).. 2015. 2. 22.
큰땅빈대 큰땅빈대 | 애기땅빈대 Keun-ttang-bin-dae Euphorbia maculata L. 귀화식물 ○ 국명정보 큰땅빈대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큰 + 땅빈대", 큰땅빈대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땅빈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더 큰 것에서 유래했다. 땅빈대라는 이름은 잎이 작으며 식물체가 땅에 깔린 모양을 곤총 빈대에 비유한 것에서 유래했다. 전국의 밭가 및 집안 마당 등에서 기어 자라는 특징이 있으며, 이린잎은 식용하고 전초를 민간 약재로 사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대극과(Euphorbiaceae) 대극속(Euphorbia) 애기땅빈대(귀화식물) / 큰땅빈대(귀화식물) / 땅빈대 / 누운땅빈대(귀화식물) ○ 분포|자생지 북미 원산.. 2015. 2. 22.
애기땅빈대 애기땅빈대 | 좀땅빈대, 애기점박이풀 Ae-gi-ttang-bin-dae Euphorbia supina Raf. 귀화식물 ○ 국명정보 애기땅빈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애기 + 땅빈대", 애기땅빈대라는 이름은 식물체의 크기가 작은(애기) 땅빈대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대극과(Euphorbiaceae) 대극속(Euphorbia) 애기땅빈대(귀화식물) / 큰땅빈대(귀화식물) / 땅빈대 / 누운땅빈대(귀화식물) ○ 분포|자생지 북미 원산 | 전국 경작지 주변, 길가에 자란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가지가 갈라져 땅 위에 퍼지며, 길이 10~25cm, 털이 난다. 잎 마주나며, 긴 타원형 또는.. 2015. 2. 22.
광대싸리 광대싸리 | 고리비아리/공정싸리/굴싸리, 구럭싸리, 굿싸리, 싸리버들옻(북한명), 멥쌀 Gwang-dae-ssa-ri Securinega suffruticosa (Pall.) Rehder | Fluggea suffruticosa (Pall.) Baill. ○ 국명정보 광대싸리: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 국명의 유래 1. "광대+싸리"의 합성어이다. 광대싸리라는 이름은 진짜 싸리가 아니라 광대처럼 싸리 흉내를 내는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수형과 잎 등이 싸리와 닮았으니 꽃의 형태와 홑잎인 것 등에서 콩과인 싸리와 차이가 있으며, 어린잎을 식용했다. 형태의 유사성과 명칭의 혼동으로 인해 광대싸리라는 이름이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2015. 2. 22.
대극(2) 대극(2) | 大戟, 버들옻(북한명), 우독초/능수버들 Dae-geuk Euphorbia pekinensis Rupr. ○ 국명정보 대극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대극이라는 이름은 한자명 大戟이 어원으로, 뿌리를 약용하는데 뿌리의 맵고 쓴 맛이 사람의 목을 찌를 정도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옛 문헌에서는 한자명 대극의 한글명으로 버들옷(버들옻), 돌옷, 능수버들 등이 기록되어 있다. 잎이 버들을 닮았고 줄기를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대극과(Euphorbiaceae) 대극속(Euphorbia) 낭독 / 설악초 / 개감수 /두메대극 / 붉은대극 / 등대풀 / 풍도대극 / .. 2015. 2. 22.
여우주머니 여우주머니 | 좀여우구슬, チョウセンミカンソウ, Ussuri river leafflower Yeo-u-ju-meo-ni Phyllanthus ussuriensis Rupr. & Maxim. ○ 국명정보 여우주머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여우 + 주머니", 여우주머니라는 이름은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자루가 있는 열매의 모양을 주머니에 빗대고 그 모습이 앙증맞다고 여우에 비유한 것에서 유래했다. 여우구슬에 비해 열매에 자루가 달리는 특징이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대극과(Euphorbiaceae) 여우구슬속(Phyllanthus) => APGIII 분류체계에서는 여우주머니과(Phyllanthaceae)로 분리함.. 2015. 2. 21.
깨풀 깨풀 | 들깨나물, 들깨풀 Kkae-pul Acalypha australis L. ○ 국명정보 깨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깨 + 풀", 깨풀이라는 이름은 잎의 모양이 깻잎(들깨)과 닮은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대극과의 식물이지만 잎의 생김새가 꿀풀과인 들깨와 비스하며, 어린잎을 식용했다. 은 깨풀과 유사한 뜻을 가진 들깨나물이라는 이름을 강원도 영월에서 부르는 방언이라는 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대극과(Euphorbiaceae) 깨풀속(Acalypha) 깨풀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타이완, 한국 | 전국 길가, 밭 등에 자란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 2015. 2. 21.
190.물별과(Elatinaceae) 190.물별과(Elatin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분류군6 분류군7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군 장미상군 콩군 말피기목(Malpighiales) 190 물별과(Elatinaceae) 물별속(Elatine) 물벼룩이자리 물별 ※개요, 분포, 특징 물별과는 말피기목에 속하는 속씨식물의 과이다. ※분포 열대와 온대에 2속 30-50종 가량, 한국에는 1속 1종이 있다. Elatine triandra가 그것. ※특징 초본이거나 아관목이며 잎은 마주나거나 또는 윤생이며 홑잎, 턱잎이 있다. 꽃은 소형, 양성화, 방사상칭이다. 잎겨드랑이에 1송이씩 또는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3-5장, 떨어져 있고, 기와 모양으로 .. 2015. 2. 21.
175.괭이밥과 (Oxalidaceae) 175.괭이밥과 (Oxalid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분류군6 분류군5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군 장미상군 콩군 괭이밥목 (Oxalidales) 175 괭이밥과 (Oxalidaceae) 괭이밥속 (Oxalis) 애기괭이밥 (1) 자주애기괭이밥 괭이밥 큰괭이밥 선괭이밥 들괭이밥 덩이괭이밥(귀화식물) 자주괭이밥(귀화식물) (1) 나비사랑초(재배식물) ※개요, 분포, 특징 괭이밥과는 8개의 속을 가진 작은 과의 초본 식물이다. 괭이밥속은 이 과의 가장 큰 속으로 900종을 포함하고 있다. 이 과 종들의 특징은 째어진 잎들과, 낮에는 펴지고 밤에는 닫히는 "수면 운동"을 보여주는 작은 잎들이다. 별모양의 과일, 스타푸.. 2015. 2. 21.
애기괭이밥(1) 애기괭이밥(1) | 산괭이밥, 애기괭이밥풀, 큰선괭이밥, 큰선괭이밥풀 Ae-gi-gwaeng-i-bap Oxalis acetosella L. ○ 국명정보 애기괭이밥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애기 + 괭이밥", 애기괭이밥이라는 이름은 큰괭이밥에 비해 식물체가 애기처럼 작고 귀엽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전국의 산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흰색 꽃이 피며 큰괭이밥에비해 식물체가 작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괭이밥과(Oxalidaceae) 괭이밥속(Oxalis) 괭이밥 / 덩이괭이밥 / 선괭이밥 / 자주괭이밥 / 큰괭이밥 / 애기괭이밥 ○ 분포|자생지 북반구 온대 지역 북부 |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강원도,.. 2015. 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