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521

몽골개쑥부쟁이 몽골개쑥부쟁이| 중국명; 반와구와화(半卧狗娃花) Mong-gol-gae-ssuk-bu-jaeng-i Heteropappus semiprostratus Griers. ○ 분류 국화과(Asteraceae) 쑥부쟁이속(Aster) 가새쑥부쟁이 / 개미취 / 갯개미취 / 갯쑥부쟁이 / 눈갯쑥부쟁이 / 미국쑥부쟁이 / 벌개미취 / 비짜루국화 / 섬쑥부쟁이 / 쑥부쟁이 / 옹굿나물.. 2017. 9. 14.
몽골솜다리 몽골솜다리 | 몽골에델바이스 Mong-gol-som-da-ri Leontopodium alpinum Cass. IUCN 약관심종 ○ 분류 국화과(Asteraceae)>국화아과(Asteroideae)>떡쑥족(Gnaphalieae)>솜다리속(Leontopodium) 들떡쑥 / 산솜다리 / 솜다리 / 왜솜다리 / 한라솜다리 / 설악솜다리 ○ 분포|자생지 유럽 알프스 원산, 유라시아 피레네 .. 2017. 9. 14.
좀참새귀리 좀참새귀리 | JOm-cham-sae-gwi-ri Bromus inermis Leyss. 귀화식물 ○ 국명정보 좀참새귀리 : 박수현 (1995) ○ 국명의 유래 "좀 + 참새귀리", 좀참새귀리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보다 작은 참새귀리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참새귀리속(Bromus) 빕새귀리 / 참새귀리 / 개빕새귀리 / 꼬리새 / 민둥참새귀리 / 성긴이삭풀 / 털빕새귀리 / 민둥빕새귀리 / 까락빕새귀리 / 큰참새귀리 / 긴까락빕새귀리 / 털참새귀리 / 좀참새새귀리 / 큰이삭풀 ○ 분포|자생지 유럽 원산, 아시아, 북아메리카에 귀화 | 중부 지방의 길가나 들판에 귀화하여 자란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식물체 전체가 털이 없다. 높이 40-70cm, 긴 근경(根莖)과 기는.. 2017. 9. 14.
관모개미자리 관모개미자리 | 두메모래별꽃, 두메벼룩이자리, 좀벼룩이자리 Gwan-mo-gae-mi-ja-ri Arenaria capillaris Poir. ○ 국명정보 관모개미자리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관모 + 개미자리" 관모개미자리라는 이름은 함경북도 경성 관모봉에 생육하는 개미자리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기존의 명칭 개미자리에 자생지 관모를 첨가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 분류 석죽과 (Caryophyllaceae) 벼룩이자리속 (Arenaria) 관모개미자리 / 벼룩이울타리 / 벼룩이자리 ○ 분포|자생지 중국, 몽골, 한국 | 함경북도 경성군 관모봉 등 지역의 높은 산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목질화(木質化)되어 있다. 줄기 높이 10~20cm, 뿌리.. 2017.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