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521

나도바랭이(1) 나도바랭이(1) | 영명:Feather fingergrass Na-do-ba-raeng-i Chloris virgata Swartz. 귀화식물 ○ 국명정보 나도바랭이 : 이창복 (1969) ○ 국명의 유래 "나도 + 바랭이", 라는 이름은 형태상 바랭이와 유사하지만 똑같지는 않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aceae) 나도바랭이속(Chloris) 나도바랭이 ○ 분포|자생지 열대 아메리카 원산 | 개항 이후 우리나라에 귀화하여 서해안 바닷가나 매립지에 분포한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줄기의 기부 마디에서 구부러지고 옆으로 누운 마디에서 뿌리를 내며 높이 20~50㎝이다. 잎 기부에 많은 것이 모여 나고 선형으로 길이 5~25㎝, 너비 4~7㎜이며 중앙맥을 따라 둘로 접혀진다. 엽설은 길이 0... 2017. 9. 16.
몰다비카용머리 몰다비카용머리 | 중국명 香青兰(향청란) , 중국 길림성 山薄荷(산박하) Dracocephalum moldavica Sturm 해외(몽골)식물 ○ 분류 꿀풀과(Lamiaceae) 용머리속(Dracocephalum) 벌깨풀 / 용머리 / 흰용머리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몽골,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동시베리아, 동유럽 등 | 원산지에서는 건조한 산지, 계곡, 돌이 많은 곳 등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잎 꽃 열매 ○ 동정 포인트 1. 우리나라 용머리와는 달리 잎에 톱니가 있다. ○ 참고 중국식물지 기재문 http://frps.eflora.cn/frps/Dracocephalum%20moldavica ○ 여적 2017. 9. 15.
가시까치밥나무 가시까치밥나무 | 가시바늘까치밥나무, 영명 Siberian currant, トゲスグリ Ga-si-kka-chi-bap-na-mu Ribes diacantha Pall. ○ 국명정보 가시까치밥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가시 + 까치밥나무 ", 가시까치밥나무라는 이름은 까치밥나무와 비슷한데 줄기 등에 가시가 있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에서 까치밥나무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가시를 추가하여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까치밥나무과(Grossulariaceae) 까치밥나무속(Ribes) 까치밥나무 / 꼬리까치밥나무 / 넓은잎까치밥나무 / 눈까치밥나무 / 명자순 / 바늘까치밥나무 / 가시까치.. 2017. 9. 15.
기장(1) 기장(1) | 영명 Broomcorn, Millet, Hog Millet, Proso Gi-jang Panicum miliaceum L. ○ 국명정보 기장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기장이라는 이름은 13세기경부터 그 기록이 확인되는데 길과 조(粟)의 합성어로 당황색의 열매가 달리는 조와 비슷한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길은 발음이 비슷한 귤 등과 유사하 것으로 노란색 열매임이 확인된다고 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기장속(Panicum) 개기장 / 기장 / 미국개기장 / 큰개기장 ○ 분포|자생지 인도 원산, 전 세계 재배 | 한반도 전역의 밭에서 재배한다. ○ 형태 한해살이.. 2017. 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