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521

물옥잠(2) 물옥잠(2) | 물옥잠아, Korsakow’s monochoria, ミズアオイ Mul-ok-jam Monochoria korsakowii Regel & Maack ○ 국명정보 물옥잠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물 + 옥잠" 물옥잠이라는 이름은 물에 살고 잎 등이 옥잠화를 닮은 식물이라는 뜻이다. 전통 명칭 옥잠(화)을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산지 물을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물옥잠과(Pontederiaceae) 물옥잠속(Monochoria) 가는물달개비 / 물달개비 / 물옥잠 / 부레옥잠 ○ 분포|자생지 러시아(우수리), 중국, 한국, 일본 등지 | 전국 논이나 늪의 물속에서 자란다. ○ 형태 여러.. 2017. 9. 16.
도꼬마리(1) 도꼬마리(1) | 도고마리, 창이자(蒼耳子), 중국명 苍耳(창이), 卷耳(권이), 耳珰(이당), 苓耳(영이), 葈耳(시이) / 일본명 オナモミ / 영문명 Cocklebur, Clotbur, Burweed Do-kko-ma-ri Xanthium strumarium L., 1753. ※외래귀화식물 ○ 국명정보 도꼬마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도꼬마리라는 이름은 옛이름 됫고마리 또는 도고말이가 어원으로, 약재로 사용하는 열매의 가시가 되(도로) 고부라져 말린 모양 또는 머리 모양이라고 본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도꼬마리의 어원 *중국명 : 苍耳(창이), 卷耳(권이), 耳珰(이당), 苓耳(영이.. 2017. 9. 16.
눈양지꽃(1) 눈양지꽃(1) | 누운양지꽃, 누운딱지꽃, 넌출양지꽃 Nun-yang-ji-kkot Potentilla anserina L. ○ 국명정보 눈양지꽃 : 이창복 (1980) 누운양지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눈 + 양지꽃", 눈양지꽃이라는 이름은 누운 양지꽃이라는 뜻으로 기는줄기를 뻗는 모습이 누워서 자라는 것처럼 보인다고 하여 붙여졌다. 에서 양지꽃을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누운을 추가해 누운양지꽃을 신칭했으나 에서 누운양지꽃을 축약한 눈양지꽃으로 변경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장미과(Rosaceae) 양지꽃속(Potentilla) 가락지나물 / 개소시랑개비 / 검은낭아.. 2017. 9. 16.
지네발새 지네발새 | Jine-bal-sae Dactyloctenium aegyptium (L.) Willd. |이명 Dactyloctenium aegyptium (L.) Beauv. 외래식물 ○ 국명정보 국가표준식물목록(2011) 추천명, 출전 Kor. J. Pl. Tax. 33 : 81 (2003) ○ 국명의 유래 "지네발 + 새" 지네발새라는 이름은 벼과 왕바랭이속 종과는 달리 수상화서가 가지 끝에 방사상으로 배열하고 화축의 끝에 2mm 정도의 자상돌기가 드러나 있는 것이 지네의 발을 연상시키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 분류 벼과 (Poaceae) 지네발새속 (Dactyloctenium) 지네발새 ○ 분포|자생지 열대지방 남미 원산, 중국, 한국 등 귀화 | 경기도, 서울 월드컵 공원 등 버려진 땅.. 2017. 9. 16.